위로가기 버튼

붉은 가시가 자라는 (부분)

등록일 2025-05-18 18:16 게재일 2025-05-19 18면
스크랩버튼
권순

나의 손은 머리보다 구체적으로

하루를 기억한다

(중략)

오늘 하루, 내 손이 닿지 못한 것 참 많다

물기 거두어진 엄마의 얼굴과

사과 같은 아이의 얼굴

바람이 만지는 대로 일렁이는 나무

햇빛이 눌러주는 대로 빛나던 이파리와

이슬이 앉았다 떠난 풀잎

뱀이 쓸고 간 부드러운 흙무더기도

닿을 수 없는 허공을 눈으로

더듬으며 밤길을 휘젖는데

담장을 삐져나온 장미 가시가 손을 찌른다

붉어진 손끝에 하루가 자란다

시인은 ‘머리’보다 촉각에 따라 마음에 기억을 새긴다고 한다. 하니 반성도 만지지 못한 것에 따라 이루어진다. 오늘 만지지 못한 것은 무엇인가. 엄마의 얼굴, 아이의 얼굴, 나무와 이파리, 흙무더기···. 모두 생명과 관계있는 것들. 생명의 기억을 점차 잃어버리고 있는 시인에게 앞길은 어둡기만 해서 더듬거리며 갈 수밖에 없다. 하지만 시인을 나무라듯 그의 손을 찌른 장미가시가, 그의 하루를 반성으로 성장시킨다.  <문학평론가>

이성혁의 열린 시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