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북 산불 피해복구 생업 복귀에 방점 둬야

우정구 기자
등록일 2025-05-07 18:49 게재일 2025-05-08 19면
스크랩버튼

경북도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심의를 거쳐 지난달 발생한 도내 5개 시군 산불 피해지역에 대한 지원책을 최종 확정했다.

피해지원 복구비는 총 1조8000억원 규모로 잡았다. 국비 1조810억원과 지방비 6500억원 등이 투입된다. 경북도는 이번에 확정된 피해 복구비는 피해주민 주거 안정과 생업 복귀에 중점을 두고 예산을 편성했다고 밝혔다.

전소된 주택에 대해서는 종전 3000여 만원 보상에서 1억원 이상으로 상향했고, 농기계 보상도 11개 품종에서 38개 품종으로 확대해 농민들이 실질적인 혜택을 입을 수 있도록 조치했다.

그밖에도 농작물과 농업시설물 지원도 실거래가 기준으로 하고, 공장과 사업장 철거비와 폐기물 처리 비용은 전액 국비로 충당키로 했다. 또 고령 인구가 많고 산불로 생계 수단이 없어져 소멸 위기에 놓인 지역에 대해서는 도시재생사업 등도 벌인다고 밝혔다.

경북 의성 등 5개 시군에서 발생한 산불은 피해 면적만 9만9000여 ha에 이른다. 주택 3819동이 소실되고 3587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농기계. 농작물, 공공시설물, 문화유산에 이르기까지 피해 규모가 역대급으로 광범위하다.

정부가 경북도의 건의를 받아들여 예산에 반영한 것은 다행스런 일이지만 경북지역 산불피해 상황이 매우 나쁘기 때문에 주민들이 만족해 할지는 미지수다.

특히 전소 주택지원비를 1억원으로 올렸지만 재건축 비용으로 감당하기 턱없이 부족하다는 말도 나온다. 일부 노인들은 지원금이 부족해 집을 짓지 않고 지원금만 받고 고향을 떠나 자식과 함께 살 것이란 얘기도 들린다.

자치단체는 지원 예산을 효과적으로 집행해 피해 주민들이 그나마 고향에 머물며 살아가겠다는 의지를 갖도록 하는 데 역점을 둬야 한다. 촘촘하고 세밀하게 예산을 집행해 국가와 지자체가 피해주민과 함께 한다는 느낌을 주어야 한다.

산불 발생 한 달이 지났지만 아직도 많은 피해주민은 실의에 빠져 있다. 예산이 지원된다고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 것도 아니다. 지금부터는 피해 주민이 삶의 의욕을 갖도록 하는 행정의 따뜻한 보살핌이 더 필요하다.

Essay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