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와 무소속 한덕수 예비후보가 7일 오후 단일화 문제를 논의한다. 두 후보 측은 이날 오후 6시에 회동이 예정된 사실을 공지하며 장소는 약속 시간에 맞춰 공개하기로 했다. 김 후보가 조속한 단일화를 요구하는 당 지도부에 개입을 중단하라며 반발하는 등 당내 갈등이 불거진 상황에서 전격적으로 두 후보 간 회동이 이뤄짐에 따라 회동 결과에 관심이 쏠린다.
김 후보는 캠프를 통해 낸 입장문에서 “(7일) 18시 한 후보를 단독으로 만나기로 약속했다”며 “이 약속은 후보가 제안했다. 단일화와 관련해 더 이상의 불필요한 논쟁은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또 “함께 경선에 참여했던 모든 후보들을 따로 만나 현안에 대한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눌 예정”이라고 했다. 국민의힘 2차 경선에는 안철수 의원, 한동훈 전 대표,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올랐다.
그러면서 그는 ‘당무우선권 발동’이라면서 “(국민의힘 권영세 위원장이) 실시하겠다고 발표한 불필요한 여론조사는 당의 화합을 해치는 행위로 즉각 중단해야 한다”며 “당 지도부는 더 이상 단일화에 개입하지 말고, 관련 업무를 즉시 중단해야 한다. 이 시각부터 단일화는 전적으로 후보가 주도한다”고 했다. 권 위원장이 전 당원을 대상으로 실시하겠다고 발표한 후보 단일화 찬반 여론조사 중단과 함께 김 후보가 단일화를 직접 주도하겠다는 것이다.
김 후보와 국민의힘 지도부가 충돌하고 있는 것은 단일화 시점 때문이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대선 후보 등록 시한인 오는 11일 전에 김 후보와 한 후보 간 단일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날까지 단일화에 성공해야 단일 후보가 기호 2번을 달고 선거에 나설 수 있다. 11일이 지나면 한 후보는 단일화 후 국민의힘에 입당하더라도 2번을 달 수 없다.
그러나 김 후보 측에서는 국내 투표용지 인쇄일인 25일 전까지 단일화를 성사시켜도 된다고 맞서고 있다. 한 후보는 단일화 시점까지 국민의힘으로부터 선거 자금과 선거 유세 등에 일체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것과 달리 김 후보는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정치권에서 시간은 김 후보 편이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다만 국민의힘에서는 25일까지 단일화 문제를 끌 경우 성사되더라도 효과는 미미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이런 상황에서 김 후보와 한 후보가 이날 만남에서 구체적인 단일화 방안을 도출해낼지가 최대 관심사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