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울릉도공항 전국지방공항들 눈독…적자 줄이려 울릉도 하늘길 활로 모색

김두한 기자
등록일 2025-04-27 10:00 게재일 2025-04-28 10면
스크랩버튼
울릉도 공항 완공 조감도. /자료사진

전국적으로 KTX, SRT열차 등 고속 교통이 발달하면서 이용객 감소로 만성적자를 내는 지방공항들이 울릉도를 오가는 하늘길로 활로 모색에 나서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방자치단체들에 따르면 지방공항들이 울릉도공항 취항에 따른 업무협약을 잇달아 개최한 것으로 알려졌다. 

울산시는 최근 울릉도에 건설 중인 울릉공항과 울산공항을 오가는 신규 노선 취항을 추진하고 있다. 울산시는 소형항공사인 섬에어, 한국공항공사와 업무협약을 맺었다. 

울릉공항~사천공항 등 사천공항 활성화를 위해 경남도가 섬에어와 업무협약체결. /경남도

경남도도 울릉도를 오가는 비행기를 띄운다. 경남도·사천시·진주시는 섬에어, 한국공항공사와 업무협약을 통해 신규 노선 취항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협약에 따라 섬에어는 사천∼김포·제주 노선을 취항하고, 사천∼울릉도 노선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섬에어는 경북 울릉도와 인천 백령도 개항에 맞춰 이들 공항과 내륙공항 연결망을 구축하고자 2021년 11월 만들어졌다. 협약에는 울산∼울릉, 울산∼김포, 울산∼제주 신규 노선 개설을 위해 상호 협력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울릉공항 건설 현장. /DL이엔씨

한국공항공사는 섬에어가 울산공항에서 지속적으로 운항할 수 있도록 관련 시설을 제공하고, 공항시설을 개선할 것을 약속했다. 울산시는 섬에어 운항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 등을 맡기로 했다.

강원 양양공항도 울릉도공항이 완공되면 취항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앞서 제주도를 오가는 노선으로 활로를 찾고 있다. 양양군은 오는 8월 양양∼제주 노선 재개를 추진 중이다. 군은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한 국제선 전세기 운항 등을 검토하고 있다. 

울릉공항 노선 취항을 위한 섬에어 울산시 업무협약. /울산시

이들 공항들이 울릉도를 오가는 노선 취항에 나서는 건 공항의 적자 폭이 점점 커지고 있어서다. 항공정보포털에 따르면 울산공항의 영업이익은 2019년 적자 162억 원에서 2021년 적자 173억 원, 2023년 적자 195억 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률(총매출액 대비 영업이익 비율)은 2019년 506%, 2021년, 508%, 2023년 923%로 급감했다. 사천공항 역시 매년 적자 70억 원대를 내면서 지난해 영업이익률이 마이너스 950%로 집계됐다.

섬에어 항공기 이미지 사진. /섬에어

이렇게 적자 폭이 커지는 건 공항 이용률이 떨어지고 있어서다. 울산공항 이용객은 코로나19 영향을 받던 2020년 60만 명에서 2021년에는 88만 명, 2022년 79만 명으로 늘었다. 하지만, 2023년 38만 명, 지난해 44만 명으로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따라서 공항 운영이 비즈니스로만 이익을 내기는 불가능해 관광코스로 눈을 돌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관광은 수요가 매년 증가 추세고 경비보다는 안전하고 빠른 교통을 선호한다. 이 때문에 지방의 적자공항들이 울릉도공항 취항을 서두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두한 기자 kimdh@kbmaeil.com

 

동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