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동영상서비스(OTT) 등으로 인해 대구지역 영화상영관들의 관객이 크게 줄어들고 있다.
2000년대 초반까지만해도 대구 동성로 등 시내를 중심으로 많은 상영관이 호황을 누렸으나, 코로나 사태 이후 관객이 크게 줄어들면서 상영관 수는 대구 전역을 다 합해도 21곳에 불과하다.
특히 OTT 콘텐츠가 급부상하면서 영화 상영관을 찾는 관람객들의 발길도 크게 줄어들었다.
지난 24일 오후 찾은 대구의 한 대형 상영관은 대부분 예매율이 20석을 한참 밑돌았다. 심지어 단 한석도 예매가 안된 곳도 있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티켓부스와 매점 등에서는 일하는 직원들만 서성거릴 뿐 관람객을 찾기가 힘들었다.
티켓부스 인근에서 한참의 시간이 흐른 뒤 만난 한 시민은 "“예전에는 친구들과 함께 영화를 보기 위해 상영장을 찾았는데 그것도 이젠 추억이 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OTT에 좋은 콘텐츠들이 많은 것도 사실이지만 여전히 영화 상영관만의 매력도 있으니 사람들이 많이 찾았으면 한다”고 전했다.
영화진흥위원회가 지난 3월 발표한 영화산업 결산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극장 전체 관객 수는 643만 7886명이다. 이는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 반토막이 난 수치다.
관객 300만 명 이상을 동원한 1분기 개봉작은 봉준호 감독의 ‘미키 17(301만1538명)’이 유일하다.
OTT 시장 규모는 이미 영화관을 추월한 것으로 조사됐다. 작년 한국의 극장 시장 규모는 1조 2603억 원이나 OTT 시장 규모는 2조 719억 원으로 밝혀졌다.
OTT 구독료가 영화 한 편 티켓값과 비슷한 것도 OTT 시장을 키우는데 한 몫을 하고 있다. 어려운 경제상황에서 영화 한편 티켓값으로 집에서 넷플릭스를 마음껏 보는 게 낫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황인무기자 him7942@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