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오래 기억될 프란치스코 교황

홍성식 기자
등록일 2025-04-23 16:42 게재일 2025-04-24 19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홍성식(기획특집부장)

드물고 희귀한 사례다. 가톨릭 266대 교황 프란치스코(본명 호르헤 마리오 베르고글리오)가 지난 21일 8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가톨릭교도가 슬퍼하는 건 당연하다. 헌데, 한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 사람들이 자신이 가진 종교와는 무관하게 프란치스코 교황에게 애도를 표하고 있는 상황. 심지어 무신론자까지 추모 대열에 합류하고 있는 형국이다. 왜일까?

이유가 있다. 프란치스코는 일생 내내 ‘거리를 떠도는 빈곤한 자들의 아버지’ ‘권위를 내려놓은 친구 같은 성직자’로 불렸다.

젊었을 땐 낡은 신부복을 입고 가난한 마을을 찾아가 병든 아이들을 끌어안으며 그들에게 신의 축복이 있기를 빌었고, 교황이 된 후에는 일흔을 넘긴 노구를 이끌고 전쟁과 불화를 겪는 세계 곳곳을 찾아다니며 화해와 상생의 메시지를 전했다.

피격의 위험성이 상존했음에도 방탄복 입는 걸 거부했다니, 그의 믿음과 용기는 공포를 뛰어넘은 차원의 것이었다. 보통의 인간이라면 가지기 힘든 태도다.

한국의 세월호 유가족들은 아직 기억하고 있을 터. “고통 받는 사람들 앞에서 정치적 중립을 말할 수 없다”는 프란치스코의 따스했던 위로를. 이미 세상에 잘 알려진 그의 검약과 소박함, 사회적 소수자와 핍박당하는 이들을 향한 긍휼의 눈길은 재론할 필요도 없을 테고.

밑창이 닳은 구두를 신고 금이 아닌 쇠로 만든 십자가를 목에 건 프란치스코 교황이 바티칸 성베드로 성당 발코니에 나타나던 순간을 오래 기억할 가톨릭교도가 적지 않을 것이다. 그의 온화하고 선량한 미소는 더 많은 이들이 쉽게 잊지 못할 듯하다. 무신론자인 기자도 그런 사람들 중 하나다.

/홍성식(기획특집부장)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