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각자의 바다, 하나의 배

문은강 소설가
등록일 2025-04-20 19:05 게재일 2025-04-21 16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공동체는 영웅 하나의 힘으로 유지되지 않는다./언스풀래쉬 

그리스 신화 중 ‘아르고호 원정대’의 서사를 좋아한다. 황금 양모를 찾아 나선 이아손과 그를 따르는 항해자들이 같은 배에 오르는 내용이다. 여기에는 우리가 잘 아는 개성 강한 영웅이 등장한다. 펠레우스, 오르페우스, 헤라클레스… 멀리서 볼 땐 그럴듯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꽤 엉망이다. 리더는 불확실하고 멤버는 오버 스펙이며 계약서 따위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배는 바다로 나간다. 대부분의 이야기는 그렇게 시작되는 법이다.

 

우리는 어떤 사람을 영웅이라고 부를까? 악의 반대편에서 싸우고 모두가 물러날 때 앞으로 나아가는 사람. 어떤 상황에서도 먼저 나서며 인류 전체를 끌어안는 사람을 생각할 수도 있겠다. 생각해 보면 영웅이라는 칭호는 꽤 부담스럽다. 위험 앞에서 망설이지 않고 타인을 지켜줄 수 있는 강한 힘과 용기를 가져야만 하니까. 누군가 내게 그런 책임을 부여한다면 최선을 다해 거절할 것이다. 마음은 감사합니다만, 저는 소시민의 삶이 편안해서요. 아무래도 칼보다 장바구니가 더 익숙하거든요.

 

공동체는 영웅 하나의 힘으로 유지되지 않는다. 각자의 자리에서 노를 젓는 사람이 언제나 더 중요하다. 아르고호에서 헤라클레스가 이탈한 장면을 봐도 그렇다. 항해 중 그의 절친한 친구인 힐라스가 요정들에게 납치당하는 일이 벌어진다. 헤라클레스는 주저 없이 배에서 내리고 친구를 찾겠다며 아르고호로 돌아오지 않는다. 신보다 인기 많다던 스타 영웅이 하차했지만, 이야기는 그를 기다려주지 않는다. 항해는 계속되어야만 한다.

 

다른 쪽으로 생각한다면, 그것은 공동체보다 더 중요한 어떤 감정을 선택하는 순간이기도 하다. 언제든 자신만의 이유로 배를 빠져나갈 수 있는 세상. 우리는 그런 사회를 건너고 있다.

 

이제 우리는 각자의 바다를 향해 나아가는 하나의 배에 탄 것에 가깝다. 하나의 목적을 가지고 힘을 합치던 신화 속 원정대와는 다르다. 각기 다른 목적지와 출발선을 가진 채 아주 거대한 배 위에 함께 올라타 있는 것이다.

 

개인을 둘러싼 우주는 다채롭다. 누군가의 우주는 회사와 집 두 행성 사이만을 맴돌고 누군가는 주거 비용이 중력보다 무겁다고 느낀다. 매일 아침 울리는 알람이 빅뱅처럼 터지기도 한다. 자신만의 궤도를 돌고 하루를 버텨내는 사람들. 그들의 바다는 같지 않고 물살도 다르다. 노를 쥔 손에 힘이 들어갈 수밖에 없다.

 

우리 사회는 그 어느 때보다 다양해졌다. 성적 지향, 가족을 구성하는 방식, 노동의 형태와 일의 윤리. 모두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 지극히 개인적인 선택이다. 한 사람의 경험은 다른 이의 경험으로 대체되지 않는다. 그렇게 우리는 점점 더 세분된 바다를 유영한다. 물길이 다른 것은 이상하지 않다. 진짜 문제는 우리가 각자만의 바다를 건넌다는 사실을 자주 잊는 것에 있다.

 

다양성은 소중한 가치다. 그러나 때로는 그 다양함이 서로를 이해하기 어렵게 만들기도 한다. 누구도 같은 항로를 지나지 않기에 공감은 더욱 어렵다. 타인의 고통이 심각한 문제로 느껴지지 않고 누군가의 외침은 나를 향한 언어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너도 나도 각자의 길을 걸어가느라 바쁘니까. 힘들고 숨이 턱 끝까지 차니까. 그 깊이와 위태로움은 서로에게 설명되지 않는 질감의 것이다.

Second alt text
문은강 ‘춤추는 고복희와 원더랜드’로 주목받은 소설가. 2017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작가로 등단했다.

방향을 잃은 항해에는 등불을 켜는 사람이 필요하다. 이때는 장바구니를 든 소시민도 영웅이 될 수 있다. 각자의 고단함을 인정하면서도 모두가 흩어지는 순간 다시 모일 수 있는 힘을 기억하는 사람 정도면 영웅의 자질이 충분하다. 잠깐의 기다림과 안부 묻기, 당신을 이해한다는 속삭임 같은 것. 그 작고 조용한 목소리가 우리가 함께 있다는 증거가 된다. 우리는 연결되어 있다. 그 연결을 소중하게 여겨야 한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건 각자의 바다를 인정하면서도 이 배가 어디로 가는지를 함께 상상해보는 감각인지도 모르겠다. 황금양모까지는 아니더라도 퇴근길 버스 자리에 앉는 행운 정도는 손에 쥐게 될 지도 모르니. 

 

아니, 꼭 뭔가를 쥐지 않아도 괜찮다. 불어오는 바람을 맞으며 맥주 한 캔 부딪히는 것만으로도 모험은 즐거워질 테니까. 참 고생하십니다. 내일은 좀 나아지지 않을까요? 그 정도의 인사를 건네는 사람이라면, 함께 항해하는 데 부족하지 않은 동료가 아닐까.

 

/문은강(소설가)

2030, 우리가 만난 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