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건 연대는 확실하지 않지만 고기에 “청량사는 월유봉 아래 있는데 최고운이 가야산에 들어갈 때 처음 살았던 곳”이라는 기록이 있다. 해인사 산내암자 중 가장 오래되고 보물이 3개나 있는 사찰. 전통양식의 ‘일 가람 일탑’인 대웅전, 석등 및 석탑이 일직선으로 반듯이 배치된 사찰이다. 한동안 폐사된 것을 1811년에 회은 스님이 중건하고 지금은 성철 스님의 상좌인 원타 스님이 머물고 계신다.
이곳 역시 최치원 선생의 발자취가 남아 있는데 ‘삼국사기’에는 최치원이 즐겨 찾았던 곳이라고 기록되어 있고, 조선 중기의 임억령(1496~1568)의 시 구절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고운이 푸른 산에 깃 들었다 들었는데/ 청량사 아래 세간 집이라 하네/ 표연히 선계로 가버려 찾을 곳 없으니/ 시름하며 찬 솔에 기대니 산 가득 비 내리네”.
통일신라시대의 양식으로 보이는 석탑, 석등, 석조석가여래좌상은 보물로 지정되고 특히 석조석가여래좌상은 삼단의 사각형 대좌 위에 부처의 모습이 뚜렷하고 얼굴은 단아한 표정으로 경주 석굴암 불상과 함께 불상 양식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불상의 높이는 2.1m, 대좌 높이 75cm로 석불의 기단석에 부처님께 차 공양을 올리는 보살상이 조각돼 있어 신라시대의 차 문화가 발달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는 귀한 자료다. 최근 약광전에 봉안된 아미타여래설법도가 경남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산사를 품고 있는 천불산은 능선이 마치 거대한 용의 등뼈처럼 휘고 굽어져 있으며 가까이서 보면 바위의 모양이 기이하고, 멀리서 바라보면 마치 천개의 불상이 합장을 하고 서 있는 듯 보인다. 또한 해질녘 산정에서 바라보는 암능은 마치 신선이 내려와 앉은 듯 신비롭고. 홍류동 계곡으로 이어지는 월유봉은 달도 머물다 쉬어간다고 할 정도로 아름다운 봉우리이다.
음력 삼월 초하루. 스님의 법회가 있는 날이면 절간은 고요하면서도 분주하다. 신도들의 얼굴 표정을 살핀다. 비탈의 나무들이 제 각각 자신의 꽃을 피우 듯, 산사에 기대어 사는 신도들 역시 섬기는 절의 불성을 닮아 있다. 푸른 산에 바람이 불어오니 생강나무는 노란 꽃을 피웠다. 절을 방문할 때는 절법의 예를 살피고, 문화재는 누구나 소중히 보존하고 아껴야 할 것이다.
/김성두 시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