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기존 발표한 125%에는 펜타닐관련 20% 세율은 포함안 된 것으로 정정<br/>중국 당국 11일 대미 수입관세 종전84%에서 125%로 인상 12일부터 발동<br/>중국 시진핑 국가주석 14일부터 동남아시아 3개국 방문, 공동 대항 모색<br/>이에 따라 미국, 중국 등의 다양한 계층에서도 반발이 점차 격화되는 양상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10일부터 중국산 수입제품에 대한 관세를 125%로 인상한다고 밝혔으나 이후 말을 바꿨다. 중국 정부는 12일부터 종전 84% 관세를 125%로 올린다고 발표했다.
미국은 미 동부시간 10일 오전0시1분(한국시간 오후 1시1분), 중국산 수입제품에 대한 추가관세 세율을 125%로 인상한다고 발표하면서 한국 등에는 90일간 10%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었다.
하지만 다음날 125%세율에는 지난 2~3월간 부과되고 있던 펜타닐과 관련한 관세 20%는 포함되지 않은 수치라고 정정했다. 결국 백악관측에 따르면 최종적으로 중국에 부과되는 관세는 125%가 아닌 145%가 되는 셈이다.
이와 관련 중국 외교부는 11일 시진핑 국가주석이 14~18일에 베트남, 말레이시아, 캄보디아를 방문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트럼프 정권의 상호관세에 대항하기 위해 동남아시아에서 무역확대를 논의하기 위한 것으로 외신들은 전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중국 정부는 종전까지의 대미 보복조치로 84%를 부과한다고 했던 추가관세를 125%로 인상해 12일부터 발동한다고 발표했다. 또 중국 상무부는 11일 미국의 관세에 대한 세계무역기구(WTO)에 재차 제소하였음을 명확하게 밝혔다.
이에 따라 중국을 제외한 미국 뉴욕공업지수를 포함한 다른 각국의 주요 증권시장은 일제히 상승세를 보였었으나, 11일 다시 하락세를 보이는 등 혼란이 지속되고 있다.
미국의 아마존닷컴은 중국에서의 발주를 당분간 일시 정지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고, 일본계 상사들은 워싱턴에 정보수집을 위한 사무소 설치를 검토하고 있다.
반면 중국에서는 미국 영화수입과 관련해 물량을 줄이는 한편 미국의 가금육생산업체 등에 대한 수출자격을 정지하고, 희토류에 대한 수출 금지 조치 등 주요 산업별로 다양한 양상으로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의 여파가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