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석향 운영 진무재 씨<br/>포항 송라면 120평 작업실 공간<br/>희귀한 바위·이끼·나무 등 수집<br/>산·계곡 옮긴 듯한 전시실 ‘감탄’
“자연의 경이로움을 그대로 담았습니다”
10일 오후 포항시 북구 송라면에 있는 진무재(72)씨의 작업실은 따사로운 봄 햇살 아래 푸른 초록빛으로 물들어 있었다. 그가 만든 120평의 전시공간은 산과 계곡을 그대로 옮겨 놓은 듯 감탄을 자아내게 만드는 작품들로 가득했다. 크고 작은 바위들, 수십 년 된 나무들, 푸르른 이끼와 잔잔하게 흐르는 계곡물까지 그 풍경은 한 폭의 산수화를 연상케 했다.
포항에서 나고 자란 진 씨는 1988년 ‘산수분경’을 처음 알게 된 이후 지금까지 37년 동안 자연의 아름다움을 자신의 손끝에서 되살아나게 했다.
그는 이 작업을 단순한 취미나 공예가 아닌 “자연과의 교감”이라고 표현했다. “처음엔 아이들의 피부병 때문에 집에서 보리싹을 키우기 시작했어요. 그런데 한겨울에도 싹이 파랗게 올라오는 걸 보며 자연의 생명력에 감탄했죠. 그때부터 조금씩 식물을 키우고, 자연의 형태를 작게 재현하는 일에 매력을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진 씨의 작업은 그야말로 자연에 대한 ‘연구’다.
작품을 구성하는 바위, 나무, 이끼 모두 직접 발품을 팔아 수집한다. 강원도 깊은 산속에서 희귀한 바위를 찾고, 계곡가에서 오랜 세월 물과 햇볕을 견딘 이끼를 채집한다.
그는 자연 그대로의 느낌을 살리기 위해 인공적인 재료는 쓰지 않는다. 하나의 작품을 완성하는데도 최소 두 달 이상 걸린다.
작품의 영감은 오로지 ‘산’에서 얻는다. 그는 한라산과 지리산, 설악산은 물론 중국의 장가계, 프랑스의 몽블랑까지 직접 돌아다니면서 마주한 절경을 사진으로 담고 머릿속에 각인한 뒤 이를 작품으로 재현한다.
“산을 오를 때마다 자연이 주는 선물을 받는 느낌이에요. 작품은 그 선물에 대한 내 나름의 감사 인사인거죠”
그의 하루는 작품을 돌보는 것으로 시작된다. “아침에 눈을 뜨면 제일 먼저 분경에 물을 주고, 잡초를 뽑고, 가지치기를 합니다. 그러다 보면 어느새 몇 시간이 훌쩍 지나가지요. 작품을 돌보는 시간이 곧 나 자신을 돌보는 시간입니다”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천계노송’은 140년 된 소나무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 것이다. 깎아지른 절벽 위 뿌리를 바위틈에 얽어 자라는 노송의 생명력을 표현했다. ‘천계노송’을 보기 위해 전국 각지의 방문객들이 그의 작업실을 찾아온다.
하지만 그에게는 한 가지 아쉬움이 있다. “요즘 젊은 세대가 자연과 가까이 지내는 일이 많지 않아요. 실제로 우리나라에서 전통 분재나 산수분경을 이어가는 사람들이 급격히 줄고 있습니다”라며 “자연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곁에 두고 보살피고, 벗처럼 지내는 삶이 가능하다는 걸 많은 분들이 알았으면 참 좋겠습니다”
진 씨는 끊임없이 새로운 작품을 구상하고 있다.
그는 “완벽한 자연은 흉내 낼 수 없지만, 그 감동의 일부라도 담아낼 수 있다면 내 일은 충분히 가치 있지요”라며 남은 생이 다할 때까지 이 길을 걷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
/단정민기자 sweetjmini@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