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지난달 의성에서 시작한 산불로 역대급 피해를 입은 경북 북동부 5개 지역에 대한 복구 계획을 발표했다.
양금희 경북 경제부지사는 7일 언론을 통해 “산불피해 극복을 단순히 재난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거나 그 자리에 머물게 하지 않고 복구와 재건을 넘어 지역의 미래를 재설계하는 재창조 수준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도는‘경제산업 재창조 2조 프로젝트’란 이름으로 산불 피해지역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통해 지역의 미래를 새롭게 설계하겠다는 구상이다. 구상 내용은 대략 이렇다. 의성을 중심으로 한 내륙 피해지역에는 10만평에 달하는 스마트팜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영덕에는 스마트 양식 콤플렉스를 만든다. 또 안동 남후농공단지와 영덕 제2농공단지는 강소산업단지로 바꾼다. 청송의 음식테마거리를 재건해 마케팅을 지원하고 청송과 영양에 대규모 체류형 산림레포츠 휴양단지를 짓겠다는 계획 등이다. 여기에 소요되는 예산은 국·지방비와 민간자본 유치로 대체한다는 생각이다.
경북 북동부지역 5개 시군에 번진 산불은 사상 유래가 없는 피해를 남겼다. 20여 명의 목숨을 앗고 추정치지만 1조 원 이상 피해가 발생했다. 주택 수천 가구와 농경지, 과수원, 가축, 비닐하우스 등이 모두 불타 피해농민들은 생계수단마저 잃은채 망연자실 하고 있다.
피해주민 가운데는 머물 곳과 생계 수단이 없어져 자식들이 사는 가까운 도시로 떠날 생각을 가진 사람도 적지 않다고 한다. 복구가 서둘러지지 않으면 곳에 따라 한동네가 몽땅 사라지는 일이 생길지도 모른다. 가뜩이나 인구 소멸도가 높은 경북지역의 소멸 위기감이 높아질 우려도 있다.
도의 프로젝트가 재난 이전상태로 되돌리는데 만족하지 않고 재창조 수준으로 업그레이드 하겠다는 것은 인구소멸에 대한 예방적 조치측면도 있다. 프로젝트 실현에 대한 주민 설득과 이해도를 높이고 지역에서 살아갈 희망을 갖도록 분위기를 만들어가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당장 피해주민의 주거와 생계수단을 빨리 복구해 주는 것이 관건이다. 이번 프로젝트가 피해지역의 희망 등불이 되도록 착실한 실천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