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손·팔 반복 사용하면 힘줄 손상손목보호 위한 무리한 활동 NO

등록일 2025-04-07 19:49 게재일 2025-04-08 12면
스크랩버튼
팔꿈치 상과염<br/>반복적인 근육 사용으로 발생<br/>팔꿈치 보조기 착용으로 예방<br/>소염제·물리치료 등 증상 완화<br/>작은 습관 변화로 건강 지켜야
팔꿈치 상과염 진단을 위한 초음파를 하고 있다.
팔꿈치 상과염 진단을 위한 초음파를 하고 있다.

◇팔꿈치 상과염이란?

팔꿈치 관절에는 바깥쪽(외상과)과 안쪽(내상과)이 있습니다. 바깥쪽에는 손목과 손가락을 펴는 근육과 팔을 바깥쪽으로 돌리는 근육이 시작되고, 안쪽에는 손목과 손가락을 구부리는 근육과 팔을 안쪽으로 돌리는 근육이 시작됩니다.

상과염은 손과 팔을 너무 자주, 반복해서 써서 힘줄이 시작되는 부분이 다친 뒤, 제대로 낫지 않아서 생기는 병입니다. 이런 문제는 운동을 많이 하거나 일을 하면서 손과 팔을 반복해서 많이 쓰는 경우에 잘 생깁니다. 예를 들면 요리사, 미용사, 건설 현장 노동자, 기술자, 택배 기사 같은 직업을 가진 사람들, 집안일을 많이 하는 주부에게도 자주 나타납니다.

◇팔꿈치 상과염 진단 방법

진단할 때는 X-ray, 초음파, MRI 같은 검사를 합니다. X-ray는 팔꿈치를 이루는 뼈(상완골·요골·척골)나 관절에 이상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상과 부위에 석회(딱딱한 석회 성분)가 생긴 것도 자주 보여집니다. 초음파에서는 힘줄이 붙는 부위에 손상이 있는지 볼 수 있습니다. 손상된 부위는 화면에 어둡게(신호가 낮게) 나옵니다.

◇팔꿈치 상과염 치료

먼저 무리하게 손과 팔을 쓰는 것을 멈추는 게 제일 중요합니다. 그리고 평소에 어떤 습관이 이 병을 일으켰는지 확인해서, 그런 행동은 피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또한 팔꿈치에 과도한 힘이 가지 않도록 보조기(팔 보호대)를 착용하는 것이 있고, 스트레칭도 도움이 되는데, 손상된 힘줄이 굳지 않게 늘려주고, 다시 건강하게 회복되도록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

이민호 포항세명기독병원 정형외과 전문의
이민호 포항세명기독병원 정형외과 전문의

사무직처럼 손목을 자주 쓰는 경우엔 타이핑 보조대나 손목 보호대를 써서 손목을 덜 쓰게 하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또한 소염제 복용, 파스, 물리치료 같은 기본적인 치료도 증상을 줄이는 데 효과가 있습니다. 최근에는 체외충격파 치료(ESWT)라는 것도 자주 사용합니다. 이 치료는 힘줄이 다시 잘 자라게 도와주고, 증상이 더 빨리 좋아지게 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주사치료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는데 스테로이드, PRP(혈소판 농축 혈장), 증식치료(Prolotherapy), 보톡스 등이 있습니다. 가장 많이 쓰는 건 스테로이드 주사로 염증을 빠르게 가라앉혀서 금방 좋아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자주 맞으면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같은 주사를 다시 맞아도 효과가 점점 줄어들 수 있고, 피부가 얇아지거나, 색이 빠지거나, 지방이 괴사하는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래서 꼭 필요한 경우에만 맞는 게 좋습니다.

PRP 주사는 내 피에서 혈소판이 풍부한 부분만 뽑아서 주사하는 방법인데 비용이 좀 비싸긴 하지만, 일반적인 치료로 좋아지지 않을 때 효과가 좋은 편입니다.

수술적 치료는 약이나 물리치료로도 나아지지 않는 경우, 수술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하게 하는 수술은 개방적 변연절제술이라는 건데, 쉽게 말하면 상한 힘줄 부위를 잘라내는 수술입니다. 이 외에도 단순유리술, 색전술, 탈신경화술(통증 신경을 없애는 수술) 같은 치료가 있습니다.

팔꿈치 상과염은 많이 생기는 병이지만, 치료가 쉽지 않고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환자분이 이 병에 대해 잘 이해하는 게 정말 중요합니다. 대부분은 수술까지 가지 않고도 일상생활에서 노력하면 좋아질 수 있습니다. 작은 습관부터 고쳐보는 게 중요합니다.

이성혁의 열린 시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