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경북 車 부품업계 위기… 지역경제 불똥

등록일 2025-04-06 20:06 게재일 2025-04-07 19면
스크랩버튼

미국 트럼프 대통령발 관세 전쟁이 본격화됐다. 미국은 5일부터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수입제품에 10%의 보편관세를 매기기로 했다. 한국산 제품은 9일부터 보편관세 10%를 포함해 25%의 상호관세가 적용된다.

한국은 종전까지 한미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관세없이 자동차와 부품을 수출해 왔으나 이날부터 관세가 적용되면 가격 경쟁력이 크게 떨어지면서 수출에 상당한 차질이 예상된다.

특히 대구와 경북의 주력산업인 지동차 부품업계의 타격이 심각할 것으로 우려가 된다. 지역의 자동차 부품업계는 대부분이 완성차 업체의 협력업체여서 완성차의 대미수출이 줄면 그 피해가 고스란히 협력업체로 넘어올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부품 수출도 관세부과로 감소하면 중소영세업체는 생존마저 위협받을 수 있다는 분위기다.

자동차 부품업이 지역경제에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지역경제에 미칠 부정적 영향도 걱정이다. 대구시는 지난주 자동차 부품기업의 통상위기 극복을 위한 대책회의를 열고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이달 개최되는 2025 원스톱 기업지원박람회에 국가별 관세에 대한 맞춤형 설명회를 여는 등 구체적인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한다.

그러나 미국발 관세 폭탄은 정부 차원의 대미협상 노력이 없이는 실효적 성과가 나올지 의문이다. 부품업계는 “현재로선 대안이 없다”는 반응이 주류다.

대규모 업체는 현지에 공장을 세우는 것도 고려하나 중소영세업체는 그것도 엄두를 못낼 처지다. 완성차 업체가 현지 생산을 늘리면 협력부품 공급사의 일감은 줄 수밖에 없다.

대구는 전국 자동차 부품 생산의 20%를 차지하는 자동차 부품생산 중심지다. 자동차 부품 수출이 대구 전체 수출의 약 30%를 차지한다. 앞으로 모빌리티 산업을 중심으로 대구시가 중점 육성할 분야다.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 대구 경제를 자칫 위기로 몰고 갈 수 있다. 대구시와 상공단체, 업계 등이 힘을 모아야 한다. 물론 정부가 대미협상을 잘해야겠지만 관련 업계도 기술력 확보 등과 같은 경쟁력을 키우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

Essay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