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시, 미국 자동차 관세에 “다양한 수출 지원 방안 마련 필요”

김락현기자
등록일 2025-04-03 17:22 게재일 2025-04-03
스크랩버튼
3일 오후 대구시청 산격청사에서 열린 ‘자동차 관세 대응 대책회의’에서 정장수 대구시 경제부시장이 발언하고 있다. /대구시 제공
3일 오후 대구시청 산격청사에서 열린 ‘자동차 관세 대응 대책회의’에서 정장수 대구시 경제부시장이 발언하고 있다. /대구시 제공

대구시가 3일 오전부터 시행된 미국 자동차 관세에 따라 지역 자동차 관련 기관과 대책회의를 열고, “다양한 수출 지원 방안을 마련하자”고 의견을 모았다.

대구시에 따르면, 현재 미국은 지역의 제1위 수출국이다. 특히 자동차부품은 대미 수출 1위 품목으로 지역 내 관련 기업 대다수가 부품과 소재 등 중간재를 납품하는 협력사다.

2024년 대구의 대미 수출액 20억7800만불 중 자동차 부품은 4억1800만불로 가장 큰 비중(20%)을 차지했다. 대구 지역의 자동차산업 업종별 매출 비중을 보면 차체 및 의장(20.3%), 엔진 관련 부품(11.6%), 동력전달 부품(9.5%) 등 자동차 부품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상황이다.

이번에 시행되는 미국의 수입차에 대한 관세 부과 조치로 완성차에 대한 가격경쟁력 약화 시 국내 조달부품 수출도 타격이 예상되고 있다. 특히 미 정부는 완성차뿐만 아니라 자동차 부품에 대해서도 5월 초부터 관세를 부과하고 필요시 관세 적용 부품의 범위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어서 지역 자동차 업계의 부담은 더욱 가중될 것으로 대구시는 내다봤다.

이에 시는 ‘자동차 관세 대응 대책회의’를 열고 지역기업의 안정적 판로 확보를 위한 실질적인 대응방안에 대해 논의한 것.

이날 회의에서는 관련 기관들의 발표와 소개를 통해 동향 파악부터 진행됐다.

대구정책연구원은 자동차 관세 부과에 따른 지역영향 분석 및 현황에 대해 발표했으며, 한국자동차연구원은 정부 차원의 정책 방향과 관련 업계 지원방안을 소개했다. 또 대구상공회의소에서는 지역 내 자동차 관련 업계를 대표해 지역 자동차기업의 동향과 현실적 애로사항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가졌다.

이와 함께 수출 지원 전문 기관인 코트라에서는 관세대응 상담창구(관세대응119) 및 해외 무역관 헬프데스크 운영 등 다양한 현장 지원체제 운영방안의 필요성을 전했다.

대구시는 회의에서 논의된 기관별 지원방안을 바탕으로 우선적으로 오는 8일부터 이틀간 개최되는 ‘2025 원스톱기업지원박람회’에서 ‘시, 국가별·품목별 관세에 대한 맞춤형 컨설팅 운영’과 ‘해외 OEM 파트너 발굴’ 및 ‘대체공급선 발굴 조사’ 등과 관련한 ‘관세 대응 수출 지원대책 설명회’를 가지기로 했다.

아울러 관세가 적용되는 5월 초까지 기관별 대응책을 마련하고, ‘유관기관 통합 수출 설명회’를 개최해 지역기업의 안정적 수출 판로 확보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정장수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미 정부의 불안정한 관세정책으로 인해 지역기업의 대미 수출에 상당한 어려움이 예상된다”며 “특히 대미 수출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 자동차 산업의 경우 관련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으로 다양한 수출 지원 방안을 마련토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

대구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