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LP와 함께한 집들이

김순희 시민기자
등록일 2025-04-01 19:46 게재일 2025-04-02 12면
스크랩버튼
집주인의 취향이 가득한 LP와 전축 위에 집들이 선물을 장식했다.

오랜만에 집에서 하는 집들이에 초대받았다. 귀찮고 불편해서 대부분 사람은 맛집을 골라 배달한 음식을 내놓거나 식당에서 먹고 새집을 소개하고 티타임을 갖는 것으로 대신한다. 이런 과정도 생략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런데 이번 초대는 아주 융숭한 상차림이었다.

아침부터 전복을 솔로 문질러 손질해 솥밥을 하고, 향긋한 달래장을 곁들여 냈다. 가장 좋아하는 떡볶이도 놓였다. 이렇게 안주인이 준비하는 사이 바깥주인은 손님들을 데리고 안방에서 두 아이의 방과 팬트리까지 소소한 사연까지 덤으로 올려 들려주었다. 전망 좋은 고층 아파트의 장점을 살린 어여쁜 집이었다.

감성파인 남주인이 준비한 하이라이트는 티타임에 나왔다. 밀크티부터 시원한 녹차 물 건너온 커피까지 골라 마시는 재미가 있었다. 여기에 차 맛을 깊게 해주는 음악을 추가했는데, 턴테이블이 거실에 한 자리를 차지했다. 어릴 적 우리 집 안방에 젤 좋은 자리 차지했던 전축이 떠올랐다. LP판을 올리고 바늘을 올려주면 낮게 ‘지직’ 소리를 내며 좋아하던 임병수의 ‘약속’이 가슴속으로 파고들었었다.

집주인이 준비한 LP는 여러 장이었다. 제일 먼저 들려준 것은 1984년 강변가요제 앨범이었다. J에게, 오랜만에 듣는다. 잘 들으면 아는 목소리 나올 거라고 귀띔한다. 중간쯤 한석규의 목소리다. 장려상, 동국대학교 덧마루 팀의 한 사람이었다. 노래 제목도 ‘길 잃은 친구에게’이다. 직설적인 요즘 제목과 다르게 다정하다. 그다음 음반은 드라마 ‘멜로가 체질’ OST였다. 열 번은 돌려보며 대사와 장면을 외울 정도인 최애 드라마이다. 노래가 나올 때마다 어떤 장면에 깔리던 곡인지 알아 더 좋았다.

마시던 차가 떨어져 리필 받아 마셨다. 아파트 입주까지 바닥과 냉장고 같은 것을 골라야 하는 선택지가 너무 많아 힘들었다고 했다. 하지만 즐거운 고민이었을 거라는 것을 그들의 얼굴에 미소가 알려준다. 또 다른 LP가 돌아가고 그동안 창고에 있다가 앞으로 나와 손님을 맞이하는 군자란의 전설까지 들었다. 그 사이 음악은 우리를 노래가 태어난 시대로 데려가 주었다.

주말에 새로 들어선 도서관을 방문했다. 집들이는 이미 지난 후였고, 많은 사람이 책장 사이, 빛 좋은 창가 자리, 또 조용한 구석에 노란 조명을 켜 둔 자리까지 거의 빈자리가 없었다. 그중에 2층이 제일 마음에 들었다. 남자 한 분이 작은 턴테이블을 앞에 두고 앉아 헤드폰을 쓰고 있었다. 책장에 꽂힌 앨범 중에 듣고 싶은 것을 골라 들을 수 있다고 했다. CD와 DVD 보는 자리도 따로 있었다.

벽면이 피아노 건반으로 구성된 하모니스텝의 경우 평소에는 책을 읽는 공간으로 쓰이다가 필요하면 소규모 음악 공연장으로 변신하는 오픈 스튜디오로 구성됐고, 경상북도 무형유산으로 지정된 흥해 농요 등을 감상할 수 있는 향토음악 전시 및 감상 코너도 마련돼 이곳이 영남권 최초의 음악 특성화 도서관임을 실감케 했다.

레트로 열풍과 더불어 최근 가요 업계가 LP 앨범 발매에 나서자 젊은이들이 구매에 나섰다. 구매자의 연령별 비율을 살펴보면 10대(0.9%) 20대(16.5%) 30대(19.8) 40대(35%) 50대(21.2%) 60대 이상(6.6%) 순이었다.

이 중 30대 이하의 MZ세대 비율만 합치면 37.2%로 50대보다 많다. LP를 거의 접해보지 않은 세대인데 놀랍다. 그들에게 LP는 오래된 것이라기보다 처음 보는 새로운 문화다. LP 발매 성장세가 가장 두드러진 장르는 가요다. 새 노래를 발표할 때 CD앨범과 LP앨범을 같이 발매하기도 한다. 깊숙이 넣어 두었던 ‘화양연화’ LP를 꺼내 닦아야겠다. 두 번째 화양연화를 즐기려면.

/김순희 시민기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