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이면지

등록일 2025-03-31 18:47 게재일 2025-04-01 18면
스크랩버튼
조영란

연습된 표정에 빙의 되어 살아왔으니

나의 유일한 성공은

정면이 나의 얼굴이라고 믿는 너의 오해

손에 닿는 촉감이 낯설게 느껴진 것은

굴곡진 슬픔의 근육들 때문이지

아직도 모르겠니?

뒷모습을 네가 보았다면

또박또박 새겨진 내 마음을 읽을 수 있었을 텐데

텅 빈 이면만이 나의 진실이었으므로

답하지 않음으로 답했으므로

연인이나 친구처럼 친밀한 관계에서도 위 시의 표현대로 “연습된 표정에 빙의 되어” 사는 것이 사실이다. 그 표정의 정면을 ‘너’가 “나의 얼굴이라고 믿”기를 원하면서. 하지만 정작 원하는 것은 그 정면의 ‘이면’에 있는 진실을 네가 읽어주는 것일 터이다. 그 진실이란 표정 뒤에 있는 텅 빈 이면지에 슬픈 근육들로 새겨지는 마음. 이 마음은 시각이 아니라 “손에 닿는 촉감”, 그 낯선 감각에 의해 읽을 수 있다. <문학평론가>

이성혁의 열린 시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