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시 함창읍·예천읍 일대에 존재한<br/>6가야 중 하나로 비교적 짧은 역사 간직<br/>남산고성 올라서면 전투 소리 들리는 듯 <br/>연꽃 만발한 공검지는 中 전당호 견줄만
역사 유적지를 직접 방문하는 고적답사는 책으로 공부하는 것과는 느낌부터가 다르다. 학습의 심화효과는 물론이거니와 문화유산을 바라보는 느낌이 마치 역사와 마주치는듯한 감정으로 신비롭다.
고녕가야가 존재했던 경북 상주시 함창읍 일대를 답사했다. 고녕가야는 경북 상주시 함창읍과 예천읍 지역에 존재한 6가야 중 하나다. 다른 가야에 비해 역사가 짧다. 위치가 북쪽에 떨어져 있어 존재도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학계에서는 건국 당시 위치에 대한 이론과 존재가 자주 논란을 빚는다. 하지만 역사란 기록에 의해 전승되고 유물과 유적으로 그 실체를 증명하기에 그런 논란 따위에는 개의치 않는다.
고녕가야의 역사는 42년 즉위한 1세 고로왕에 이어 2세 마종왕, 3세 이현왕으로 이어졌으나 서기 254년 7월 신라 이사금의 침공으로 멸망한다.
내가 방문한 고녕가야의 옛 성터는 남산고성이다. 일명 오봉산성으로 부르고 있다. 성의 둘레가 4530척이고 우물이 한 개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대개 고대국가들은 도읍에 성을 쌓고 기초를 튼튼히 해 나라를 유지하고 접경지역에는 방어를 목적으로 성을 지었다. 내가 찾은 남산고성도 영남의 길목과 낙동강 중류연안지역에 자리를 잡았다. 이런 지리적 위치 때문에 신라와 백제의 각축장이 된 듯하다.
고성을 따라 올라가다보면 오봉산 봉화봉이 나오고 그 밑으로 성벽이 무너진 곳을 발견할 수 있다. 성터의 다른 곳에도 석축이 무너진 흔적을 발견할 수 있고 성터로 짐작할 수 있는 돌무더기들도 볼 수 있다.
또 돌무더기를 따라 약 200m 정도 더 올라가면 고녕가야 병사들과 신라군이 만나 전투를 벌였을만한 장소와도 마주친다. 창과 칼이 부딪치는 소리가 귓가에 들리는 듯하다.
고녕가야의 큰 저수지는 공검지다. 다른 이름으로 공갈못이라 한다. 이는 제천의 의림지, 김제의 벽골제, 밀양의 수산제와 함께 삼한시대와 가야시대에 축제된 농업용 저수지이다. 공검지는 서기 1997년. 경상북도 기념물 제121호로 지정됐다.
공검지의 축제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단재 신채호는 함창의 고녕가야를 ‘고링가야’로 표기했다. 이 ‘고링가야’가 와전되어 ‘공갈’이 되었고, 현재의 ‘공갈못’이 그 유허라고 했다. 공검면이라는 이름도 이 못에서 유래됐다고 한다. 예부터 공검지는 연꽃이 풍성하여 꽃이 만발하면 중국의 전당호와 견줄 만하다고 하였고, 이로 인해 ‘공갈못 노래’가 만들어져 전파되기도 했다. 유적지 현장에서 보고 듣는 역사 이야기가 고적답사의 매력이 아닐까 한다.
/김성문 시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