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마음의 여유

등록일 2025-03-30 19:49 게재일 2025-03-31 16면
스크랩버튼
토핑으로 가득 찬 쫀득 쿠키의 모양처럼…. /언스플래쉬

요즘 SNS에서 자주 보이는 쫀득 쿠키, 작년 말부터 유행이 시작되어 지금까지 10-20대 사이에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디저트다. SNS를 통해 처음 알려진 쫀득 쿠키의 처음은 대만에서의 누가 쿠키가 원조다. 기존 누가 쿠키는 바삭하고 짭짤한 크래커 사이에 진득한 누가가 들어가 있다면, 약간 변형된 쫀득 쿠키는 버터를 녹인 마시멜로우에 탈지분유와 각종 과자 토핑을 넣어 굳힌 쿠키로, 마시멜로우의 달달함과 떡을 씹는 듯한 쫀득한 식감이 특징이다.

유튜브 채널에 쫀득 쿠키 키워드를 검색해 보면 가장 높은 조회수는 3240만회를 기록하고 있고, 인스타그램에서도 1398만의 도달수를 기록할 정도로 현재까지 뜨거운 반응을 보여주고 있다. 이 인기에 힘입어 각종 편의점에서도 ‘쫀득’이란 키워드가 들어간 각 종 디저트를 선보이고 있어, 과거 한정된 곳에서만 구할 수 있던 쫀득 쿠키였지만 이제 쉽게 주변에서 찾아볼 수 있어졌다.

인기 있는 디저트라면 꼭 입에 넣어야만 직성이 풀리는 나는, 처음 쫀득쿠키를 각 종 카페나 인터넷 판매처에서 사서 먹었었다. 지금은 사서 먹는 대신 직접 만드는 경지에 이르게 되었는데 다행히 쫀득쿠키는 별다른 베이킹 기술이나 도구가 필요하지 않고 만드는 방법 또한 정말 쉬워서, 이제는 습관처럼 만들어서 주변 사람들에게 나눠 주고 있다.

만드는 방법은 요리라고 하기 민망할 정도로 아주 쉽다. 우선 프라이팬에 무염버터 50-60g을 약불로 녹인다. 버터가 다 녹았을 쯤엔 마시멜로우 200g를 넣어 녹은 버터와 함께 섞는다. 이때 마시멜로우가 너무 클 경우 열에 잘 녹지 않고 탈 수 있기 때문에 큰 마시멜로우를 작게 썰어 넣는 것이 중요하다.

주걱을 이용해서 마시멜로우를 으깨는 느낌으로 살살 휘젓다 보면 오 분 이내로 힘없이 녹게 된다. 이때 프라이팬에 눌러 붙거나 마시멜로우가 타지 않게 약불에서 잘 저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어느 정도 마시멜로우가 약간의 갈색 빛을 돌며 반죽처럼 녹았을 쯤, 탈지분유나 시판용 우유 가루, 또는 녹차 가루나 요거트 가루를 넣어 달콤함을 더한다. 탈지분유를 넣지 않고도 만들 수 있지만, 가루를 넣어 만들면 분유의 달콤한 향과 함께 더 부드러운 식감이 완성되기 때문에 약간이라도 넣는 것을 더 추천한다.

가루가 다 섞였을 쯤엔 손질해둔 건조 과일이나 각종 과자를 넣고선 잘 섞어준다. 특별히 정해진 재료가 없어 집에 있는 과자나 제일 좋아하는 과자를 넣어도 된다. 이때 중요한 것은 마시멜로우 양과 토핑의 양이 1:1인 비율이 제일 맛이 좋다. 마시멜로우 양이 많을 경우 너무 달고 느끼해질 수 있고, 토핑의 양이 많을 경우엔 씹는 식감이 과해서 오히려 맛을 헤친다.

이제 다 완성이 되었다. 덩어리진 마시멜로우를 사각형 틀에 넣고 모양을 잡아 냉장고에 그대로 두 시간을 넣어둔다. 두 시간 후 꺼내어 칼이나 가위로 한 입에 먹기 편하게 자르면 끝이 난다. 넣는 재료와 자르는 크기에 따라 양은 달라지지만, 3-4인분의 양이 만들어진다.

윤여진 2018년 매일신문 신춘문예 시 부문에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현재보다 미래가 기대되는 젊은 작가.
윤여진 2018년 매일신문 신춘문예 시 부문에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현재보다 미래가 기대되는 젊은 작가.

SNS에서 가장 인기가 좋은 맛은 쿠키크림 맛이 나는 비스킷과 동결 건조된 딸기를 넣어 만든 딸기&쿠키앤크림 맛이나, 녹차 가루와 초코볼을 넣어 만든 녹차초코맛, 또는 황치즈 가루나 치즈 과자를 잘게 부숴 넣은 치즈맛 등등 다양한 레시피가 공유되고 있다. 자신이 좋아하는 과자를 넣어 다양한 맛을 낼 수 있단 점과 전자레인지로도 쉽게 만들 수 있단 점, 또한 껌이나 떡을 씹는 듯한 쫀득하면서도 말랑한 독특한 식감 덕에 더욱 인기를 얻는 듯하다.

요즘의 나는 쉬는 날이면 여유롭게 주방에 앉아 큰 공을 들이지 않고도 쫀득 쿠키를 만든다. 한 번에 많이 만들어 냉장고에 넣어 두면 일주일은 기본으로 먹기 때문에 매번 새로를 재료를 넣어 만들어 저장해두기도 하고, 주변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기도 한다. 내가 만든 쿠키는 시중에 파는 것보다 크기가 일정하지도 않고, 모양도 울퉁불퉁하다. 하지만 재료를 아낌없이 넣었던 탓에 시중에서 파는 것보다 맛은 훨씬 좋다.

겉모습도 완벽하면 더욱 좋을테지만, 어쩐지 모난 곳 없이 울퉁불퉁한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이 더욱 마음에 든다. 겉모습만 번지르르한 게 아닌, 자르면 자를수록 토핑으로 가득 찬 쫀득 쿠키의 모양처럼, 내실을 견고히 하는 나의 모습이 언젠가는 드러날 것이라 생각하면서 요즘의 나날들을 보내고 있다.

2030, 우리가 만난 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