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와 경북의 사회 안전 대한 인식도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동북지방통계청이 발표한 ‘대구·경북 안전 현황’에 따르면, 대구와 경북의 작년 사회 안전에 대한 인식도는 24.6%, 27.6%로 지난 2022년 보다 각각 5.5% 포인트, 4.8% 포인트 감소했다.
사회의 가장 큰 불안요인 10개 항목 중 대구는 신종질병이 14.1%, 경북은 자연재해가 11.8%로 가장 높았다.
작년 대구와 경북 폭염일수는 33.9일로 평년 14.0일 보다 19.9일이 증가했고, 한파일수는 0.8일로 평년 6.1일 보다 5.3일 줄었다.
대구와 경북의 자연재해위험 개선지구 지정현황은 각각 28곳과 472곳으로 10년전보다 대구는 55.6%, 경북은 50.3% 증가했다.
재작년 대구 자연재난 인명피해는 사망·실종 7명, 이재민 82명이며, 경북은 사망·실종 3명, 이재민 1223명이다. 피해액은 대구 107억6000만원, 경북 3653억4000만원으로 집계됐다.
피해 원인은 태풍(105억4000만원), 냉해·동해(1억3000만원), 호우(8000만원) 순을 보였고, 지난 10년간 연평균 인명피해(사망·실종)는 3.2명, 피해액은 17억7000만원으로 조사됐다.
안전 대응 인력 1인당 담당 주민 수는 10년 사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재작년 대구의 안전 대응인력 1인당 담당 주민 수는 경찰관 402명, 소방관 797명, 구조·구급대원 2814명으로 10년 전 보다 경찰관 19%(94명), 소방관 36.7%(463명), 구조구급대원 45.3%(2333명) 각각 줄었다. 경북 역시 경찰관 366명, 소방관 465명, 구조구급대원 1539명으로 각각 23.3%(111명), 47.8%(425명), 44.5%(1235명) 감소율을 보였다.
코로나19 이후 재작년 대구와 경북의 법정감염병 발생건수는 각각 25만2675건, 25만7578건으로 전년 대비 각각 79.8%, 80.4% 준 것으로 기록됐다.
같은 기간 대구와 경북의 의료기관 병상 수는 각각 인구 1000명당 17.1개, 16.6개로 전년 대비 각각 0.3개(-1.7%), 0.2개(-1.2%) 감소했다.
/황인무기자 him7942@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