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산불로 주저앉는 천연고찰 고운사…가운루·연수전 등 보물 불타

이병길기자
등록일 2025-03-26 10:28 게재일 2025-03-27
스크랩버튼
최치원 문학관도 전소
산불로 사라진 고운사.  /의성군제공
산불로 사라진 고운사.  /의성군제공
불타기전 고운사 전경. /자료사진
불타기전 고운사 전경. /자료사진

26일 오전에 찾아간 의성 고운사. 경내는 여전히 매캐한 연기가 맴돌고 있었고 불탄 누각 잔해는 곳곳에 흩어져 있었다.

폭삭 주저앉아 형체를 가늠조차 하기 힘든 가운루와 연수전 잔해들 사이에 불에 타지 않은 범종과 기왓장들이 널브러져 있다.

대웅전 안에는 미처 옮기지 못한 채 방염포로 꽁꽁 싸맨 불상이 그대로 있어 당시의 긴박함을 가늠케 한다.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경북 의성군 고운사는 전날 사찰을 덮친 화마에 큰 피해를 봤다. 특히 국가 지정 문화유산 보물로 지정된 가운루와 연수전이 형체로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타버렸다.

전소된 가운루는 계곡을 가로질러 건립한 누각 형식의 건물로 지난해 보물로 승격됐다. 가운루보다 먼저 보물로 지정된 연수전 역시 조선 왕실과 인연이 깊은 건물로 유명하다. 고운사 입구에 세워진 최치원 문학관도 앙상한 뼈대만 남긴 채 전소됐다.

경내 또 다른 보물인 ‘의성 고운사 석조여래좌상’이 있었던 곳 역시 화마를 피할 수는 없었지만, 불상만큼은 전날 승려들이 극적으로 옮기며 살아남았다.

고운사 주지 등운 스님은 “25일 오후 4시를 넘어서까지 절에 남아있었다”며 “사람들 대피시키고, 문화유산들 조금이라도 더 챙기려고 했는데 소방관도 외부 건물 화장실로 급히 피신해야 할 만큼 불이 사방으로 삽시간에 퍼졌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고운사가 있는 의성 단촌면은 산불 영향으로 전날 오후 3시 20분쯤 대피 명령이 내려졌다. 화마가 덮치기 직전까지 절에 남아 유물 등을 밖으로 옮기던 승려 5∼6명을 포함한 20여 명은 마지막 불상과 오후 3시 50분쯤부터 고운사를 빠져나왔다.

신라 신문왕 1년(서기 681년)에 의상대사가 창건한 고운사는 경북을 대표하는 주요 사찰 중 하나이다. 전통사찰 아래 식당 등 상업시설이 모여 있는 공동체인 이른바 ‘사하촌’이 없는 절로도 잘 알려져 있다.

/이병길기자 bglee311@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