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북 산불 참사, 현재 18명 사망

이석윤기자
등록일 2025-03-26 10:13 게재일 2025-03-26
스크랩버튼
대피 과정 혼란과 뒤늦은 대응으로 인명피해 확대

경북 북부 지역을 강타한 대형 산불로 26일 오전 9시 기준 18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발생했다. 당국의 늦은 대응과 혼란스러운 재난 대처가 인명 피해를 키웠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22일 의성군에서 시작된 산불은 강풍을 타고 경북 북동부 4개 시군으로 급속히 번졌다. 이 과정에서 영양군, 청송군, 영덕군, 안동시에서 총 18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지자체는 26일 밝혔다.

사망자 대부분은 갑작스러운 대피 과정에서 변을 당한 것으로 파악됐다. 영양에서는 도로에서 남녀 4명이 불에 탄 채 발견됐으며, 청송군에서는 70·80대 노인 2명이 자택에서, 60대 여성 1명이 청송읍 외각에서 숨진 것으로 확인됐다.

안동시에서는 주택 마당에서 50대와 70대 여성 2명이 사망했고, 영덕군에서는 요양원 환자 3명이 대피 차량 폭발로 목숨을 잃는 등 최소 6명이 희생됐다.

당국의 재난 대응 체계에 대한 비판도 거세다. 산불이 지자체 경계를 넘어오기 직전에야 대피 문자를 발송하는 등 뒤늦은 조치가 이뤄졌다. 일부 지역에서는 대피 장소를 안내한 지 5분도 지나지 않아 장소를 변경하는 등 혼선을 빚었다.

영덕에서는 주민 104명이 대피 중 항구와 방파제에 고립됐다가 울진해경에 구조되는 상황도 발생했다. 고령 주민들의 경우 재난문자를 받았더라도 자력으로 대피하기 어려운 사례도 확인됐다.

당국 관계자는 “초속 20m가 넘는 강풍이 방향을 바꿔가며 불고 시야도 확보되지 않는 급박한 상황이었다”며 “산불 상황이 시시각각 변하면서 대피 장소도 변경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최대한 노력해 대부분 주민을 대피시켰지만, 이 과정에서 돌아가신 분들을 구하지 못한 데 대해 책임을 통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산불 발생 시 인접 지역에서도 사전에 적극적인 주민 대피가 이뤄져야 하며, 체계적인 재난 대응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석윤기자 lsy72km@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