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2일 대형 산불이 발생한 경북 의성과 울산, 경남 등의 지역에 재난사태를 선포했다.
행정안전부는 이날 오후 산불에 대응하기 위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하고, 울산광역시, 경상북도, 경상남도 일원에 재난사태를 선포했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가 재난사태를 선포한 것은 지난 2005년 5월 강원 양양에서 발생한 산불과 2007년 충남 태안 기름유출 사고, 2019년 강원 고성 산불, 2022년 경북 울진·강원 삼척 산불 이후 이번이 5번째다.
이에 따라 피해 지역에는 재난경보 발령, 인력·장비·물자 동원, 위험구역 설정, 대피명령, 응급지원, 공무원 비상소집 등의 조치와 범정부 차원의 지원이 이뤄지게 된다. 대피명령에 응하지 않거나 위험구역에 출입할 경우 벌금 등의 조처를 내릴 수도 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은 이날 경남 산청군 산불진화 현장을 찾아 점검하고 "산림청을 중심으로 행전안전부·국방부·소방청 등 유관기관이 협력해 가용 장비와 인력을 총동원해 총력 대응해달라"고 지시했다.
한편, 이날 오전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에서 발생한 산불 진화율은 오후 7시 현재 4%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산림 당국은 헬기를 철수하고 지상 인력 위주의 야간 대응 체제로 전환한 상태다.
/고세리기자 ksr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