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지역 주력산업인 철강이 벼랑 끝 위기로 치닫고 있다. 미국정부의 철강제품에 대한 25% 관세부과로 수출 전망이 어두워진 가운데 국내적으로 저가의 중국산 철강이 대량으로 밀려와 사실상 사면초가다.
철강은 산업의 쌀로 불릴만큼 산업분야의 핵심 소재다. 그러나 세계 각국이 앞다퉈 기간산업으로 육성하면서 지금은 세계적으로 공급물량이 과잉이다. 더욱이 트럼프 정부처럼 보호주의 장벽이 글로벌 시장에서 확산된다면 국내 철강산업의 장래는 누구도 장담할 수 없다.
특히 저가의 중국산 철강재의 국내시장 침투는 국내 철강업 생존에 치명적이다. 본사가 무역협회 수출입 통계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중국산 철강의 수입 의존도는 날로 커지고 있다. 작년 처음으로 전체 수입물량의 절반을 넘었다. 1990년 국내 철강 수입에서 중국이 차지하던 비중은 겨우 4.6%였다. 그러나 작년에는 51.5%로 늘었다. 이는 중국이 철강 생산을 늘리면서 저가로 국내 시장에 파고든 때문인데, 수입단가도 수입국 중 가장 낮다.
문제는 미국이 철강에 관세를 매기면서 수출 길이 막힌 중국산 철강이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지역으로 더 낮은 가격으로 밀려올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이를 경우 국내 철강업계의 가격 경쟁력은 더 떨어지고 시장은 교란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알다시피 포항의 경제는 포스코 중심의 철강 경기에 큰 영향을 받는다. 철강산업 의존도가 큰 광양과 당진도 비슷한 처지다. 포항 등 3개 도시 단체장이 철강산업 위기에 공동대응키로 한 것도 이런 이유다. 그러나 현재로선 뾰쪽한 대책도 없다.
지난 17일 국민의힘 김정재 국회의원이 산업부 등 정부 부처에 포항을 ‘산업위기 선제 대응지역’으로 지정해 줄 것을 촉구한 바 있다. 국내적으로 기업을 보호하는 조치가 서둘러 마련돼야 하고 대외적으로는 정부가 무역 협상력을 잘 발휘해야 위기를 넘길 수 있다.
국내 철강산업은 앞으로 세계적 과잉생산과 보호무역주의, 탄소중립전환 요구 등 큰 도전에 직면한다. 중국 저가 공세를 포함한 모든 난제를 푸는데 정부와 기업이 머리를 맞대 해법을 반드시 찾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