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와 광양시, 당진시 등 3개 철강도시 단체장이 미국 트럼프 발 관세폭탄으로 위기에 몰린 지역의 철강산업 보호를 위해 공동으로 대응하기로 약속했다.
이강덕 포항시장과 정인화 광양시장, 황침현 당진부시장은 지난주 각 지역의 철강산업 현황과 피해상황 등을 공유하면서 위기극복 공동대응 전략을 모색하는 긴급대책 영상회의를 개최했다.
3개 철강도시에서 생산되는 조강생산량은 국내 전체 생산량의 93%다. 국내 생산량 대부분을 맡고 있는 이들 도시가 힘을 모으기로 한 것은 철강산업의 위기가 곧 지역경제의 위기로 연결될 수 있다고 판단한 때문이다.
지역의 단체장이 글로벌 무역환경 악화로 나타난 지역산업의 위기에 공동으로 대응하는 모습은 매우 바람직하다. 국내 정치가 혼란한 지금 상황에서 이들 단체장의 노력은 더 돋보인다. 하나의 힘보다는 여럿이 힘을 보태면 더 낫다. 단체장의 역량을 모아 대응하면 노력의 성과도 더 커질 수 있는 것이다.
알다시피 국내 철강산업은 2021년부터 글로벌 경기침체로 철강 수요가 크게 줄어든 상태다. 게다가 중국의 저가 물량의 국내 공세와 일본의 엔화 하락으로 인한 경쟁력 약화로 국내 철강업계는 전례없는 불황을 겪고 있다.
미국 트럼프 정부가 내달부터 철강제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추가 부과키로 하면서 국내 철강업계는 사면초가의 위기에 빠졌다.
포항제철이 있는 포항시는 경북도와 협의해 포항시를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 지정과 산업전기료 인하 등의 정부 지원을 건의한 바 있다.
이번 3개 철강도시도 정부와 여야 정치권에 대한 공동건의문을 채택했다.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방안이 조속히 나오길 희망한다고 했다. 철강산업은 자동차, 조선, 전자 등 모든 산업에 반드시 들어가는 핵심 소재 산업이다. 국내 수출의 기둥 역할을 담당하는 분야다.
3개 도시는 철강산업 경기에 따라 도시의 경제가 좌지우지되는 측면이 많다. 철강산업의 위기 극복이 도시민의 삶을 돌보는 일이 되기도 한다. 3개 단체장의 공동건의에 대해 정부는 즉각적인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