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은 사실상 조기대선 준비에 들어갔다. 민주당은 지난주 ‘다시 뛰는 대한민국, 민생은 민주당 경제는 이재명’이라는 글이 적힌 현수막을 각 시·도당에 배포했다. 이 대표를 대선 후보로 추대하겠다는 의지를 노골적으로 밝힌 문구다. 민주당이 법사위에 상정한 ‘명태균 특검법’도 대선용이라는 해석이 많다. 국민의힘은 이를 ‘이재명 대선용 고속도로’라고 명명했다. 민주당은 최근 이 대표 대선공약이었던 ‘전 국민 25만원 지급’을 추경편성을 통해 재추진하려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반면, 여권은 윤석열 대통령 탄핵결론이 날 때까지 조기대선 언급을 자제하려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대선전략 방향을 놓고 고민하는 흔적이 엿보인다. 헌법재판소의 탄핵 선고기일이 3월 중에 잡힐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헌재가 오는 20일로 정해진 10차를 마지막 변론으로 잡게 되면, 3월 초 판결과 5월 초 대선을 가정할 수 있어 대선을 준비할 시간이 별로 없다.
일각에선 이미 대선 예비후보들이 각기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만큼 ‘경선 룰’ 준비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국민의힘은 윤 대통령 탄핵이 인용되면 대선후보 경선을 서둘러야 한다. 지금은 최종 경선 후보를 ‘민심’(국민여론조사)과 ‘당심’(선거인단 조사)을 절반씩 반영해 뽑도록 돼 있지만, 상당수 예비후보들이 ‘역선택’ 방지를 위해 이 룰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할 개연성이 있다.
지금 국민의힘 예비주자들의 최대 고민은 너나 할 것 없이 윤 대통령과의 관계 설정일 것이다. 예비주자 누구도 윤 대통령 지지세가 강한 ‘당심’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후보 경선과정에서도 ‘비상계엄 찬반’ 여부가 쟁점이 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당내 경선이 이런 식으로 흐르면 국민의힘은 또다시 탄핵정국 이전과 같은 내분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국민의힘은 지금부터라도 탄핵이 인용될 때를 대비해, 보수결집뿐만 아니라 중수청(중도·수도권·청년) 외연확장이 가능한 인물을 당 대선후보로 뽑기 위한 준비작업을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