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원 처리와 노인 및 1인 기구에 대한 선제적 복지정책 등<br/>데이터 기반 행정 업무 지원과 정책 수립 근거로 디지털 혁신 거점 도약 추진
포항시는 14일 ‘2024년 포항시 빅데이터 분석 사업’ 완료보고회를 개최하고, 데이터 기반 정책 수립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날 보고회에는 총무새마을과, 노인장애인복지과, 교통지원과, 대중교통과 등 관련 부서 관계자 10여 명이 참석했으며 이들은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검토하고 향후 활용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사업에서는 총 4건의 과제가 분석됐고 대상은 △국민신문고·새올민원·민원콜센터 민원 데이터 △노인 1인 가구 관련 데이터 △버스정류장 시설물 현황 △스마트 횡단보도 설치 관련 데이터 등이다.
시는 이번 분석 결과를 빅데이터 플랫폼에 시각화해 직원들의 데이터 기반 행정을 지원하고 이를 통해 노인 및 1인 가구에 대한 선제적 복지정책 수립과 민원 서비스를개선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시민 안전과 편의를 위한 버스정류장 시설물 최적 입지 선정 및 스마트 횡단보도 우선 설치 계획 수립에도 이번 분석 결과가 활용될 예정이다.
김정표 디지털융합산업과장은 “4차 산업의 규모가 커지면서 기업과 공공기관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빅데이터가 활용되고 있다”며 “주요 정책 및 현안 사항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정책 수립에 활용해 포항시가 디지털 혁신 거점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포항시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데이터 분석을 통해 행정 서비스를 개선하고,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이석윤기자 lsy72km@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