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철강 도시 포항·광양·당진 위기극복 공동대응 나섰다

이석윤기자
등록일 2025-02-13 20:18 게재일 2025-02-14 1면
스크랩버튼
3개 지자체 긴급 영상회의 개최<br/>정부 ‘금융지원·세제혜택’ 요구
포항시는 13일 광양,당진시와 철강산업도시 단체장 긴급대책 영상회의를 갖고 공동대응 모색에 나섰다. /포항시 제공

포항, 광양, 당진 등 국내 주요 철강 생산 도시들이 글로벌 통상환경 악화로 인한 철강산업 위기 극복을 위해 힘을 모으기로 했다.

포항시는 13일 광양·당진시와 ‘철강산업도시 단체장 긴급대책 영상회의’를 개최하고 공동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이강덕 포항시장, 정인화 광양시장, 황침현 당진부시장이 참석해 각 지역의 철강산업 현황과 피해 상황을 공유하면서 위기 극복을 위한 공동 대응 전략을 모색했다.

글로벌 철강 시장은 지난 2021년 이후 경기 하락으로 수요가 감소했으나 중국의 높은 조강 생산량으로 인한 수급 불균형이 심화하고 있다고 참석자들은 지적했다. 또 중국의 저가 공세와 일본의 엔저로 인한 경쟁력 약화, 미국의 25% 관세 부과 등으로 국내 철강업계가 전례 없는 불황에 직면해 있다고 분석했다.

포항을 비롯한 지자체 세 곳의 조강 생산량은 국내 전체의 약 93%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 지역의 철강산업 위기는 국가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에 포항 등 세 단체장들은 ‘철강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공동 건의문’을 채택하고, 여·야와 정부의 협력을 통한 범정부 차원의 대응 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긴급금융지원 및 세제 혜택 등 철강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대책 마련도 요구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철강산업의 위기는 지역을 넘어 대한민국 전체의 위기”라며 “국내 철강산업 보호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범정부 차원의 대응 마련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앞서 이 시장은 포항시장 명의로 지난 11일 범정부 차원의 공동 대응을 촉구하는 호소문을 발표했다.

포항시는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 노력, 국내 기업 의무할당제, 산업용 전기료 인하, 중국산 후판 반덤핑 제소 신속 처리, 수출 쿼터제 합의를 위한 외교적 노력 등 다양한 대책을 정부와 국회에 지속적으로 건의하고 있다.

/이석윤기자 lsy72km@kbmaeil.com

포항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