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시가 농촌 인력난 해소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선제 대응에 나선 결과 농업 현장의 인력 수급이 안정화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해외 지자체와의 직접 협력, 권역별 인력중개센터 운영, 농업근로자 기숙사 건립 추진 등이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며 농업 인력 문제 해결의 새로운 모델로 자리 잡고 있다.
영주시는 해외 지자체와 직접 협약을 맺고 사설 중개인 없이 외국인 계절근로자를 도입, 안정적인 농촌 인력 공급 체계를 구축했다.
2022년 108명으로 시작한 외국인 계절근로자 도입 규모는 2023년 331명, 2024년 423명으로 증가했다.
2022년 농가형 계절근로자 36명의 무단이탈 사례가 2023년 1명, 2024년에는 단 한 명도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불법 중개인 개입을 원천 차단하고 신뢰 기반의 인력 매칭 시스템을 도입한 성과로 평가된다.
영주시는 지역별 인력 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해 권역별 농촌인력중개센터를 북부·중부·남부 지역으로 운영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중점 사업으로 추진한 안정농협 공공형 계절근로 중개센터는 단기 인력이 필요한 농가를 대상으로 일 단위 외국인 근로자를 공급해 큰 호응을 얻었다.
그 결과, 2023년 대비 두 배 이상의 성과를 기록하며 한 해 동안 2962개 농가에 1만7910명의 내·외국인 영농 인력을 알선하는 성과를 달성했다.
영주시는 농업 근로자들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농업근로자 기숙사 건립 국비 공모사업에 선정 사업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2025년부터 2027년까지 3년간 확정된 사업비 24억원을 포함 총사업비 약 80억원을 투입해 영주시 아지동에 기숙사를 건립할 예정이다.
영주시는 농촌 인구 감소 및 인력 유출에 대응하기 위해 정주형 농업 근로자 육성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영주시는 2025년을 일손 걱정 없는 영농환경 실현을 목표로 지속 가능한 농업 인력 정책을 한층 강화할 방침이다.
혁신적인 인력 지원 정책 확대와 국내외 농업 근로자들에게 안정적인 일자리와 주거 환경을 제공해 미래 농업 중심지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할 방침이다.
/김세동기자 kimsdy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