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북도민 타지서 쓴 의료비 2조원 ‘훌쩍’

김진홍 기자
등록일 2025-02-09 10:52 게재일 2025-02-10 3면
스크랩버튼
2023년 관외 진료율 36.5%로 울릉 10명 중 8명 아프면 외지로 나가<br/>고령화 진전 속 인구감소 요인 작용 가능성… 거점 의료기관 육성 시급

2023년 1년간 대구경북지역 주민이 치료를 위해 타지에서 지출한 의료비가 대구는 5140억원, 경북도는 2조438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제공하는 지역별의료이용통계를 분석한 결과다.

2023년중 대구경북 지역 주민들이 진료를 위해 지출한 총진료비는 대구(군위 포함) 5조7707억원, 경북 6조6760억원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 진료비는 2013년 대비 지난 10년간 대구는 107.9%, 경북은 96.5%가 늘어난 수치다. 2020년 이후 최근 3년간 지역민의 의료비 지출액은 대구, 경북 각각 26.4%, 22.0%가 증가했다. 2020년 이후의 높은 증가세는 코로나19 사태 등의 영향도 일부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경상도 권역 내의 부산, 경남, 울산, 대구, 경북 5개 지역 주민이 연간 지출한 총진료비 중 관외(타지)의 의료기관에서 지급한 진료비의 비중(이하 ‘타지진료율’)은 경북지역을 제외하면 모두 감소경향을 나타냈다. 대구는 2013년 타지진료율이 10.5%에서 2023년에는 8.9%로 줄어들어든 반면 경북도는 31.9%에서 36.5%로 다른 지역보다 큰 폭으로 증가했다.

경상권 내에서도 경남과 경북이 부산, 울산, 대구 등에 비해 타지진료율이 높은 데는 지역 내 대학병원, 대형종합병원 등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이 최대 요인으로 분석된다.

경북지역 내 2023년 중 시군별 타지진료율에서는 도서지역인 울릉군이 압도적으로 86.6%를 나타냈다. 몸이 아픈 경우 울릉군에서는 100명의 환자 중 87명 정도는 타지로 나가 진료를 받을 수밖에 없다는 이야기다. 그 뒤를 이어 영양군(84.6%), 청송군(80.8%), 고령군(79.6%) 순으로 의료시설이 충분하지 않은 군지역일수록 타지진료율이 높았다. 이러한 경향이 지속될 경우 지역 의료산업에 큰 위기를 초래할 가능성도 있다.

특히, 최근 지역 내 주요 산업경기가 국내외 여건 변화로 큰 타격을 입은 상황에서 높은 수준의 타지진료율이 지금처럼 상승세가 이어질 경우 도부(道富), 시·군부(市·郡富)의 수도권 등 타지역으로 유출은 역내 소비위축 등 지역경제활성화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지역 내 행정기관, 산업체, 금융기관, 가계 등 모든 경제주체들이 1년간 창출한 총부가가치인 지역내총생산(GRDP)에서 타지로 유출된 진료비의 비중을 살펴보면 심각한 상황이다.

2020년의 도내 시군별 지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해당 시군의 역외진료비 비중이 청도군은 10.8%를 기록했다. 청도군 내 모든 경제주체들이 연간 창출한 지역내총생산의 10% 이상을 수도권 등 타지역 소재 병원에 치료비로 지출한 것이다.

예천, 의성, 영덕, 영양 등도 9%대를 기록하고 있어 앞으로 고령화가 진전될수록 이 비중은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

지역 내 인구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지역의 부(富)가 역외로 유출되는 것은 최종적으로 지역 내 순환경제의 자금규모를 위축시킬 우려가 있다. 또 역외유출 진료비에는 실제 환자가 지출한 진료비용만 계산된 것이다. 환자의 가족 등 보호자들이 중장기 입원의 경우 병원인근에서 간호를 위해 지출할 수밖에 없는 체류비, 수도권으로 오가는 교통비 등은 포함되지 않는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신뢰할 수 있는 대형 대학병원이나 지역 내 거점 민간의료기관의 부재는 고령화가 진전되는 경북지역의 또 다른 인구 감소요인으로 작용할 우려도 있다.

경북도 차원에서는 지역별 안배가 아닌 도지역 전체를 고려해 대학병원이나 민간 의료기관 등의 유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지역 내 기존 주요 의료기관을 적극적으로 육성해 유능한 의료인력이 정착할 수 있는 지역 의료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여건 조성에도 정책적 지원방안을 시급히 마련할 필요가 있다.

지역 의료계의 한 관계자는 “무엇보다도 몸이 아픈 지역 환자가 믿고 찾아갈 수 있는 지역 내 거점 의료기관을 정책적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지역 내 의료전달체계를 보다 명확하게 구축해야한다”고 지적했다.

/김진홍에디터 kjh25@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