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동해 심해 석유·가스전 탐사 시추인 ‘대왕고래 프로젝트’가 경제성이 없어 사실상 실패임을 발표하자 포항 시민들은 실망과 허탈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또 산유국의 꿈 중심에 있던 포항 지역사회는 당혹감을 감추치 못하며 망연자실하고 있는 분위기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고위 관계자는 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진행한 브리핑에서 “가스 징후가 잠정적으로 일부 있었음을 확인했지만 그 규모가 유의미한 수준이 아니라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었다”고 언급했다.
이어 “경제성을 판단할 때 가스 포화도 수치를 보는데 대왕고래는 생산 광구로 볼 정도는 아니다”고 덧붙였다.
대왕고래 유망구조에 대한 탐사시추 작업은 지난해 12월 20일 시작해 47일 만인 지난 4일 종료됐다.
향후 검층자료와 시료 등을 전문 용역사로 보내 정밀 분석과 실험을 실시해 오는 8월쯤 최종 분석 결과가 나올 예정이지만, 대왕고래 유망구조와 관련해서는 추가 시추 등 탐사는 진행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대왕고래 자체는 석유를 생산하기에 적합한 요소를 갖춘 구조인 만큼, 시추 과정에서 획득한 데이터는 나머지 6개 유망구조에 대한 자료 보정과 후속 시추에 쓰일 전망이다.
포항시는 1차 탐사시추 결과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가 아직 나오지 않은 만큼, 결과를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한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첫 번째 시추에서 바로 좋은 결과가 나왔으면 하면 기대가 있었지만, 그간의 유전개발 성공 가능성 등을 봤을 때 1차 시추로만 확정해서는 안 되지 않냐”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업 주체인 한국석유공사가 ‘대왕고래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지방자치단체와 정보 공유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것은 아쉽다”라며 “정부가 지자체와 주민을 고려하지 않고 국가적 프로젝트를 일방적으로 결론낸 모양이 됐다”고 피력했다.
한편 지난 5일 포항지역 도·시의원 등으로 구성된 ‘대왕고래프로젝트 예산 추가반영을 촉구하는 범시민 서명운동본부’는 대시민 운동을 선언한 바 있다.
서명운동본부장을 맡고 있는 김영헌 포항시의원은 “탐사시추가 끝나자 마자 정부가 곧바로 경제성이 없다고 판단해 발표한 것은 수긍이 안 된다”면서 “최종 분석 결과를 지켜봐야 하고 나머지 6개 유망구조도 모두 테스트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석윤기자 lsy72km@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