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우원식·권영세·이재명<br/>추경예산 편성 등 민생쟁점 논의<br/>주 52시간 근로제 예외적용 포함<br/>반도체법 2월 처리 가능성 주목
정부와 여야가 다음 주 초 국정협의회를 열고 추가경정예산 편성과 반도체특별법 등 민생 쟁점을 논의할 전망이다.
4일 여·야·정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우원식 국회의장,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참여하는 국정협의회 ‘4자 회담’을 다음 주 개최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실무협의회를 가진 국민의힘 김상훈, 민주당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회의를 마친 후 브리핑을 통해 “오늘 논의한 의제에 대해 다음 주 국정협의회에서 결론을 도출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진 정책위의장은 “다음 주 월요일(10일)이나 화요일을 목표로 일정을 조율하고 있고 4자 회담이 열릴 것”이라고 부연했다.
국민의힘은 이날 실무 협의에서 반도체특별법과 일명 에너지 3법(국가기간전력망확충법·고준위방폐장법·해상풍력특별법)의 신속한 처리를 제안했다. 민주당은 민생 정책과 인공지능(AI)·연구개발(R&D)과 관련한 추가경정예산안 편성 등을 주요 의제로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반도체 연구·개발 인력을 대상으로 한 ‘주 52시간 근로제 예외 적용’이 포함된 반도체특별법의 2월 내 처리 가능성도 주목된다.
국민의힘과 정부는 이날 오전에도 국회에서 ‘반도체특별법 주 52시간제 특례 도입을 위한 당정협의회’를 열고 반도체 특별법을 2월 임시국회에서 처리해야 한다며 한목소리를 냈다.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주 52시간제의 경직된 운영으로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이 날로 약화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연구·개발과 생산라인 운영에 시간이 부족한데도 법적 제약이 가로막고 있다”며 “이대로라면 글로벌 반도체 경쟁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민주당은 당내 논의를 거쳐 반도체 특별법 도입에 대한 입장을 조만간 정리할 예정이다. 이 대표가 전날 토론회에서 예외 규정 수용을 시사하면서 전향적인 결정을 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한편, 여·야·정협의체는 비상계엄 사태 이후 국정 혼란을 수습하기 위해 지난해 말 여야 합의로 구성됐으나 현안을 둘러싼 이견으로 진전이 없던 상태였다. 이에 이번 4자 회담을 통해 민생 현안 해결 방안을 도출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고세리기자
ksr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