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캐나다·멕시코산 수입품에 25%, 중국산에 10%의 추가 관세를 물리면서 예상됐던 미국발 관세 전쟁이 시작됐다. 캐나다와 멕시코가 즉각 반발해 25%의 보복관세를 선언했고, 중국도 세계무역기구(WTO)에 미국을 제소키로 하는 등 맞서면서 글로벌 시장 경제가 대혼란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까지 나온다.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의 배경은 불법 이민자 등을 표면적 이유로 내세웠지만 내용적으로는 미국과의 무역에서 흑자를 내는 나라를 대상으로 한 무역전쟁 선포다. 캐나다, 멕시코, 중국은 미국 무역흑자 상위 3위국이다. 한국은 대미 무역흑자 8위국으로 다음 타깃의 대상이다.
미국은 우리나라 수출의 20%를 차지하는 거대시장이다. 특히 많은 국내기업들이 멕시코 등에 공장을 차려 우회 수출하고 있어 미국의 관세정책이 본격화 될 경우 한국경제에 미칠 파장이 심상찮다.
대구와 경북도 트럼프발 관세 폭탄이 비켜갈 수 없는 곳이다. 포항경제의 중심인 철강과 이차전지, 구미의 반도체 산업도 미국의 관세 정책 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트럼프는 이미 반도체, 철강, 자동차 부문에 대해서도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바도 있다.
지금 포항의 철강산업은 저가제품 공세에 시달려 현대제철 2공장의 가동이 중단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트럼프 관세 정책이 발표되면 엎친 데 덮친 격이 될 수도 있다. 또 포항지역 수출 1위 품목인 이차전지까지 타격을 받게 되면 포항경제는 매우 심각해질 수 있다.
구미 전자와 반도체 산업도 비상이기는 마찬가지다. 자동차 부품산업이 많은 대구의 제조업 전반에도 트럼프발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발 관세 폭탄에 대응할 대책이 나와야 하나 탄핵정국으로 정부가 어수선해 걱정이다. 정부는 단단한 각오로 미국과 협상에 나서야 한다. 지방정부와 상공계 등 지방경제 주체들은 위기의식 속에 함께 지혜를 모아 위기 극복에 나서야 한다. 특히 기업은 혁신적 기술 개발로 독자적 경쟁력을 갖추는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는 노력을 시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