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청년이 머물고 싶은 도시에 大邱 미래 걸어라

등록일 2025-02-02 18:26 게재일 2025-02-03 19면
스크랩버튼

대구시가 지난주 대구광역시 청년정책조정위원회 올해 첫 회의를 개최했다. 청년정책조정위는 대구시장을 위원장으로 하고 청년정책 전문가 등 20명으로 구성된 민간협력 네트워크다. 여기서는 지역특성에 맞는 청년사업을 발굴하고, 청년정책에 관한 주요 사항을 심의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전국 지방자치단체마다 이와 같은 기구가 만들어져 있고 관련 정책들도 비슷한 것들이 많이 나온다. 특히 수도권 집중으로 청년들이 빠져나가는 지방도시들은 청년들을 붙잡기 위해 다양한 정책들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발표된 정책만큼 청년들의 호응이 좋은 것은 아니다.

정치, 경제 등이 집중된 수도권으로 쏠리는 청년들의 마음을 붙잡기에는 역부족이다. 그렇다고 지역 청년들이 떠나게 놔둘 수는 없는 일이다.

대구시는 청년이 찾는 젊고 역동적인 대구 건설을 위해 2017년에는 청년정책과를 신설해 각종 청년정책 개발에 힘을 쏟아왔다. 홍준표 대구시장의 민선 8기에는 대구시의 산업구조를 신산업 구조로 대폭 개편해 젊은이가 선호하는 일자리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그 결과, 민선 8기 3년동안 결혼 적령기 30∼34세 청년인구가 1만여 명이 늘어난 성과를 냈다. 매년 2000∼3000명씩 줄어들던 30대 청년인구가 23년만에 증가세를 보인 것은 놀라운 변화다. 지난해는 전국 지자체 일자리 대상에 대구시가 최우수상을 수상하는 영광도 안았다.

그렇지만 이 정도로는 청년이 있고싶어하는 도시라 말하기 어렵다. 청년들이 주목하는 대구가 되기 위해선 획기적인 정책들이 쏟아져 나와야 한다. 청년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 주인공이다. 그들이 안정적으로 사회에 정착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지방도시의 사활이 걸린 문제다. 대구가 전국에서 가장 혁신적이고 기발한 청년정책을 만들 수 있어야 대구의 미래도 희망적이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대구시는 올해 일자리, 주거, 교육, 복지문화 등에 1691억원의 예산을 들여 청년정책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전국 지자체가 추진하는 비슷한 수준의 예산과 정책으로는 승부를 낼 수 없다. 대구만의 종합적이고 특별한 청년정책이 만들어져야 한다.

노병철의 요지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