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이 휙 하는 소리 내며 지나간다. 누가 쫓아오는 것도 아닐진대 서둘러 사라지는 시간을 생각하노라면 인생살이가 매우 덧없어 보인다. 영생불사하는 존재도 아닌 인간군상이 만들어내는 온갖 부조리와 불합리의 근저에 자리하는 탐욕과 분노와 어리석음의 독성을 새삼 반추한다. 비상계엄으로 초래된 내란 사태가 어언 두 달을 넘어가고 있다.
지난 두 달 동안 거의 모든 것에 손과 마음을 놓고 사태 추이를 따라가는 자신을 보면서 무력감과 안타까움을 느끼곤 한다. 나의 빈약한 상상력을 총동원해도 계엄의 이유를 찾을 수 없다. 식민지의 빈곤과 무지의 상황을 이겨내고 경제 번영과 민주 제도를 안착시킨 최초의 나라. 문학과 예술로 세계를 경탄하게 하는 문화강국 대한민국에서 비상계엄이라니?!
권력자와 그 하수인들은 무엇이 그렇게 못마땅했을까. 민주주의는 싫든 좋든 다수결이 지배하는 정치구조에 기초한다. 문제가 생겨나면 총칼이나 공권력이 아니라, 대화와 타협을 통해서 해결하는 것이 기본 중의 기본이다.
그렇기에 최고 행정 권력을 틀어쥔 자가 그릇된 확증편향에 사로잡혀 국회를 무력화하려 했다는 사실은 묵과할 수 없는 범죄 행위다. 사태가 진행되는 가운데 서부지법에 대통령을 지지하는 폭도들이 난입하는 사태까지 발생했다. ‘국민 저항권’이란 미명으로 저질러진 폭도들의 만행은 평균적인 한국인의 의식 수준을 한참 뛰어넘는 것이었다. 피비린내 진동했던 1980년 5월 광주에서 전두환의 계엄군에 목숨 걸고 저항했던 광주 시민들은 단 하나의 방화나 난동도 저지르지 않았다.
어떤 사람은 서부지법에 난입한 다수의 폭도가 2∼30대 ‘루저’라고 말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런 사실보다 더 주목할 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우리 사회가 포기하다시피 한 역사교육이다. 수학능력 시험이 끝나면 수험생 전원이 까마득한 망각의 강으로 내팽개치는 역사교육. 공무원 시험을 볼 때나 다시 달달 외우는 역사교육이 문제다.
국가의 역사에는 숨기고 싶은 것과 드러내고 싶은 것이 있기 마련이다. 빛과 그림자처럼, 인간의 장단점처럼, 긍정과 부정은 동전의 양면과 같은 것이다. 그러하되 우리는 긍정과 자긍심, 자랑과 자부로 넘치는 역사보다 부정과 열패감, 우울과 패배에서 더 많은 것을 배우기 마련이다. 치욕적인 임진왜란을 제대로 반성하지 않았기에 굴욕적인 병자호란을 당하지 않았던가?!
우리는 60년 남짓한 시간대에 물질적인 풍요와 제도적 민주화에 성공했지만, 놓치고 빼먹고 눈감아버린 것 또한 부지기수다. 물질 만능과 승자독식, 지역주의와 학벌 중심주의, 이기적인 가족주의가 우리가 전통적으로 고수해온 공동체 의식과 정신의 숨통을 조여온 것이다. 이런 상황의 근저에 자리하는 것이 입시 위주의 역사교육과 불철저한 역사의식이다.
잊어서는 안 되는 패배한 역사, 치욕적인 사건과 인물, 처절한 피의 살육과 정권 장악 같은 역사의 아수라판을 생생하게 교육해야 한다. 그리하여 ‘부패-무능-타락-패거리주의’로 무장한 자들이 다시는 득세하지 못하도록 철제관에 그자들을 묻고 ‘쾅쾅’ 대못질을 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