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를 가다 : 천천히 또는 깊게
□ 출항, 큰 바다를 건너는 일
며칠 연이어 결항에 결항이 거듭되었다. 건너가는 일은 계획하는 것만큼 수월하지 않았다. 한 시간이 멀다 하고 해상 날씨와 선사 사정을 살폈다. 초조하기 때문이다. 출항이 결정되었음에도 마음이 놓이지 않는다. 겨울 바다 사정을 모르는 것도 아닌데 말이다. 한때는 숱하게 겪었던, 너무도 익숙한 일이었음에도 불안한 마음은 먼저 엄습했다. 배에 오르고 선체가 움직이고, 육지의 불빛이 점점 멀어져 까마득해져서야 비로소 ‘출항’은 기적처럼 반가웁게 현실로 다가온다.
밤새 요동치는 바다 위에서 흔들린다. 오늘만큼은 바다 위에서 한없이 흔들리고 흔들려도 좋으리. 내 육신 저 밑바닥까지 다 게우고 게워도 좋으리. 갈망하고 꿈꾸던 망망대해의 그 땅에 발 딛고 서는 순간이 온다면야 이 몸 녹초가 되어도 괜찮으리.
사위는 온통 짙은 어둠이다. 사방 천지 빛이라고는 없고 오직 바다를 가르는 이 한 척의 배뿐이다. 칠흑의 바다를 건너는 일은 어쩌면 극도의 불안 속에 시작되는 고난의 시작인지도 모른다. 검은 바다를 가르며 미궁의 세계로 달려가는 배의 갑판에 서서 나는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는다. 향방을 가늠할 혜안이 없으므로 그저 어서 빨리 목적한 땅에 당도하기만을 바랄 뿐이다.
객실에 누웠어도 쉽게 잠들지 못한다. 뒤척이는 동안 수천, 수만의 시간이 흐르는 듯 지루하다. 삶에서 이렇게 시간이 더디게 흐른 적도 없었을 것이다. 배는 도착 예정 시각을 40여 분이나 넘겨서야 하선 안내 방송을 했다.
칠흑 같은 바다 건너 도착한 사동항
여명 밝아오려는 지 붉은 기운 돌아
오징어 들어온 어판장 활기찬 기운
살아있는 오징어 두고 경매 붙는 일
그 모든 게 울릉도의 삶 아니겠는가
저동과 도동 지나 나리분지로 가는 길
바람 거칠고 눈발은 정처 없이 떠돌아
골짜기마다 눈 옷, 한 폭의 수묵화 같아
□ 낯설지 않은 울릉도의 바람
아침 7시 40여 분, 울릉도는 아직 잠 깨지 않았다. 두꺼운 구름을 뚫고 여명이 밝아오려는 지 바다 위가 붉게 물들고 있다. 날개를 펼치고 한껏 비상하는 갈매기 날갯짓이 제법 여유롭다. 바다에서 불어오는 해풍과 산골짜기를 훑고 내려온 바람에서 익숙함을 느낀다. 그리 멀지 않은 한때 나는 이 섬에서 먹고 잤다. 그러니 이 바람들이 낯설지 않다. 어떤 해로움도 거치지 않고 오직 태초의 바람처럼 맑고 선명한 바람이다. 망망대해의, 깊은 골짜기의 영혼이 가장 선명하고 가벼운 몸짓으로 일어선 게 울릉도의 바람이 아닐까 싶다.
여객선이 당도한 사동항을 빠져나와 도동으로 넘어가려는데 붉은 기운이 시선을 잡는다. 몽돌밭이 있는 사동리 물양장에 내려서서 동쪽을 향해 선다. 세상 구석진 곳까지 찾아 들어 밝히고 밝힐 해를 향해 나도 한없이 밝아지고 있었다.
□ 반갑다, 금징어야, 울릉도 오징어야
저동항에 사람들이 둘러서 있다. 무슨 일일까? 지나치려다 급히 차를 세운다. 느릿하게 걷던 걸음이 빨라진다. 섬을 떠난 후 그간 몇 차례 울릉도에 왔었지만, 사람 하나 없는 텅 빈 어판장은 적막하기만 했다. 울릉도를 대표했던 오징어잡이가 급격하게 줄어들자 가장 먼저 어판장의 역할이 줄었다. 1∼3월, 겨울에 활발하게 잡혔던 오징어는 이제 옛날이야기가 되었다. 밤이면 수십 개의 집어(集魚)등을 달고 오징어 떼가 형성된 어군(魚群)을 찾아 나서던 채낚기 어선들의 불빛은 이제 추억으로 남았다. 울릉도의 오징어잡이 100년 역사가 점점 막을 내리게 될 것 같아 서운한 마음이 일던 차였다.
오징어가 들어왔다. 울릉도 사람들마저 오징어가 왔다며 얼굴에 화색을 띤다. 적은 양이지만 어판장은 모처럼 활기가 넘친다. 배에서 내린 오징어를 어판장 바닥에 쏟자 오징어가 배를 볼록하게 부풀린다. 놀라긴 놀란 모양이다. 열 개의 다리에 힘이 잔뜩 들어가다 못해 배배 꼬이는 모습은 익살스럽기까지 하다. 살아 있어 더욱 붉은 빛을 띠고, 때로는 붉다 못해 금빛을 띠거나 투명하기까지 하여 먹물통이 훤히 들여다보인다. 오징어 왕국을 막 떠나온 호기심 많은 종족처럼 잠시도 가만히 있지 못한다. 활기차다. 너른 바다를 쏘다니다 막다른 곳에서 마주하게 된 인간세계의 경험이 다소 불쾌하다는 듯 물을 뿜거나 “빼액~”하고 거친 소리까지 낸다. 약이 오를 대로 오른 듯하다.
살아있는 오징어를 보는 일, 그 오징어를 사이에 두고 경매가 붙는 일, 이 모든 게 울릉도의 삶 아니겠는가. 7~8년 전까지만 해도 오징어잡이를 직접 나갔다는 어른이 오징어잡이와 경매에 대해 세세히 알려주신다. 어판장에서 마주한 지역민의 친절에 객의 호기심은 더욱 커진다.
경매가 시작된다. 밤새 오징어를 낚은 선주는 멀찍이 떨어진 곳에서 지켜볼 뿐, 어떠한 말도 덧붙이지 않는다. 경매인이 알아들을 수 없는 말을 하면 매수인이 어떤 손짓을 한다. 매수인이 많을 때는 곳곳에서 손짓이 이어지고 물이 오를 대로 오른 흥정은 더욱 치열해진다. 높게 금이 쳐지면 그제야 선주의 얼굴에 화색이 오른다. 오늘은 물량이 많지 않아 금방 끝이 난다. 싱겁다. 그러나 오랜만에 어판장에 들어온 오징어에 비록 적은 양이지만 모두의 표정이 밝고 힘차다.
경매가 끝나자 ‘할복(割腹)’이 시작된다. ‘할복’은 일본 사무라이들이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육체적 고통을 이겨 낸다는 의지의 표현에서 시작된 말이지만 울릉도에서는 단순히 배를 가른다는 의미로만 생각하면 된다. 오징어 할복은 울릉도에서도 볼만한 구경거리다. 오징어잡이와 경매가 남성들의 몫이라면 할복은 여성들의 몫이다. 한 마리 할복하는데 50원이란다. 겨우 50원이라며 혀를 차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종일 한다면 돈이 되는 기술 중의 기술이다. 몇 년 하셨냐고 물어보면 “잘 모르겠어요. 철 들고부터 했으니 한 40~50년 했나?” 평생 할복하여 자식들을 키워냈고 지금껏 굶주리지 않고 살아왔다며 일에 대한 자부심을 쏟아 놓는다. 그도 그럴 게 전문적인 도구나 연장은 없다. 각자의 손에 맞게 개조한 칼이 전부고, 그 칼도 닳고 닳아 볼품없다. 칼이 손바닥 안에 쏘옥 숨겨질 정도인 걸 보면 얼마나 많은 오징어를 가르고 가르기를 반복했을까. 숙달된 손놀림을 보고 있노라면 장인(匠人)의 품격이 절로 느껴진다.
“어? 낯이 익은데….” 경매를 막 마친 매수인이 몇 안 되는 사람들 틈에 서 있는 객을 알아본 것이다. 그러더니 객을 불러 막 할복한 오징어 두 마리를 건넨다. 이렇게 값이 치솟는 중에 아는 이를 외면하지 않고 챙기는 울릉도 사람들만의 친절함인 게다.
□ 새하얀 눈의 나라, 나리분지(羅里盆地)
종일 날씨가 얄궂다. 빗발과 눈발이 번갈아 내리고 개이기를 반복한다. 저동과 도동 날씨가 이러하면 북면은 분명 사나울 것이며, 나리분지엔 폭설이 쏟아지고 있을 것이다. 북면으로 향하는 내내 눈 내리는 나리분지의 비경을 떠올린다.
북면 바다엔 높은 파도가 바다를 뒤집고 뒤집는다. 바람은 상상 이상으로 거칠고 눈발은 정처 없이 떠돈다. 천부에서 본천부, 홍문동을 지나 급경사의 오르막길과 내리막길에서 자동차 바퀴가 헛돈다. 1882년(고종19) 울릉도를 살피기 위해 파견 온 검찰사 이규원이 기록한 ‘울릉도검찰 계초본’에는 나리동으로 가는 길을 기록해 놓았다.
“천년포를 지나 왜선창에서… (중략) … 점차 전진하여 깊은 골짜기로 들어가니 큰 고개 다섯을 넘었는데 고갯길이 가팔라 올라갈 때는 거의 이마가 닿고 내려올 때는 뒷머리가 닿았다. 가장 아래쪽의 고개가 홍문가인데 이를 넘어 들어가면 이 섬의 중심인 나리동이다.”
길이 가파르다는 걸 모르는 건 아니었으나 막상 얼어붙은 길을 만나 아찔한 상황에 놓이고 나니 놀라고 긴장하는 건 어쩔 수 없는 노릇이다. 가까스로 위험한 구간을 지나 나리분지 평탄한 곳으로 접어드니 안도의 숨이 쉬어진다.
나리분지는 화산이 폭발하면서 칼데라 화구가 함몰하면서 생긴 화구원이다. 가파르게 우뚝 솟은 울릉도에서 유일한 평원이기도 하다. 둘러보면 봉오리 봉오리가 연꽃처럼 사방을 에워싸고 있다. 그중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는 남쪽의 성인봉(聖人峰, 984m)으로 나리분지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나리분지 남쪽에는 작은 봉오리가 하나 더 있다. 화산이 크게 터진 후 다시 작은 화산이 터지면서 생긴 것으로 알봉(卵峰, 611m)이라 부른다.
나리분지는 온통 새하얀 세상이다. 아이젠과 방한용품을 챙겨 눈 속으로 걸어간다. 허벅지까지 깊숙이 쌓인 눈을 헤치며 걷는데, 어느 틈에서 요정이 나와 저들만의 세상으로 인도할 것만 같은 착각에 빠진다. 눈 돌리는 곳마다 하늘을 우러러 곧게 뻗은 나무뿐이고, 나무마다 포슬포슬하게 쌓인 눈은 세상 무슨 티끌도 섞이지 않은 가장 깨끗한 자연 그대로인 것만 같다. 사방 천지 골짜기 골짜기마다 쌓인 눈으로 하여 설경은 흑과 백만 존재하는 한 폭의 수묵화가 따로 없다. 오직 산과 나무, 길을 내며 걸어가는 사람만 있을 뿐이다.
목적한 곳까지 당도했다가 돌아 나올 때까지 하루가 다 저물도록 눈은 그치지 않았다. 설맹으로 흐려진 눈( 目)은 오래도록 시렸으나 투명한 풍경을 쉽사리 거둬들이지는 못했다. 울릉도를 떠나오는 순간까지도 설맹은 나를 오래도록 새하얀 세상, 울릉도만 기억하도록 오래오래 가둬 두었다.
/박시윤 수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