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히트맨2·하얼빈·소방관 한국영화 ‘극장전’

이석윤 기자 · 홍성식 기자
등록일 2025-01-23 18:16 게재일 2025-01-24 12면
스크랩버튼
영화 '히트맨2' /영화 홈페이지
영화 '히트맨2' /영화 홈페이지

믿고 보는 권상우표 코믹 액션… ‘히트맨2’

코믹·액션 영화 ‘히트맨2’가 설 연휴를 겨냥해 22일 개봉했다.

최원섭 감독이 각본과 연출을 맡았다. 믿고 보는 권상우표 전매특허 코믹 액션과 정준호 이이경의 티키타카뿐만 아니라 설 연휴 온 가족이 즐길 수 있는 코미디 장르도 강점이다. 황우슬혜, 이지원까지 다시 뭉친 원년 멤버에 김성오가 새롭게 합류했다.

권상우는 전설의 암살요원에서 짠내 폭발 웹툰 작가를 거쳐 이제는 대히트 흥행 작가가 되어 돌아온 ‘준’ 역을 맡았다. 최근 그는 “‘히트맨’은 너무나 사랑하는 영화, 베스트다”라고 애정을 드러내며 이번에도 몸 사리지 않는 액션 연기를 예고했다. 권상우는 “톰 크루즈만큼은 뛰어보자”며 열의를 드러냈고, 정준호는 “10번을 해도 정말 끝까지 한다”며 열정을 칭찬했다.

최원섭 감독은 “1편에서도 코미디와 액션 중점을 뒀는데 이번에도 어떻게 하면 더 재밌게 만들 수 있을지 생각하며 똘똘 뭉쳐서 만들었다”며 “이번엔 액션이 49, 코미디가 51 생각하고 만들었다”고 밝혔다.

전작 ‘히트맨’은 개봉 당시 흥행에 대한 기대가 크지 않았으나, 코로나19 여파에도 설 연휴 특수에 힘입어 240만 관객 동원에 성공했다.

‘히트맨2’는 전작의 기본 틀을 유지하면서도 스케일을 전반적으로 키웠다. 웹툰 작가로 변신한 특수요원 ‘준’(권상우 분)이 새 작품으로 인해 예상치 못한 위기에 빠지는 스토리를 그리고 있다. 폭발과 총기 액션 시퀀스가 강화됐고, 웹툰을 바탕으로 한 애니메이션 요소도 더욱 화려해졌다.

코미디 요소 강화를 위해 덕규(정준호)와 철(이이경) 캐릭터의 비중을 늘렸지만, 그 효과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린다. 일부 시사회 참석자들은 “과장된 연기와 뻔한 설정으로 인해 웃음을 유발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평했다.

반면, 권상우와 황우슬혜의 연기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한 영화 관계자는 “두 배우의 코믹 연기가 영화의 중요한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히트맨2’의 흥행 성공 여부는 변화한 관객들의 취향을 얼마나 잘 반영했는지에 달려 있을 것으로 보이며, 영화계는 이번 설 연휴 극장가의 흐름이 향후 한국 코미디 영화의 방향성을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영화 '하얼빈' /영화 홈페이지
영화 '하얼빈' /영화 홈페이지

우리가 누리는 자유는 어디서 왔나… ‘하얼빈’

“대한 독립과 동양 평화를 위해 죽는데 어찌 두렵거나 후회스러울 것인가.”

1910년 3월 26일. 갓 서른을 넘긴 청년 한 명이 사형 당한다. 1909년 중국 하얼빈에서 조선통감을 지낸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의사 안중근(1879~1910). 안 의사는 대한의군 참모중장 신분으로 적의 수뇌를 쏘았다며 총살형을 요구했으나, 일본은 그 요구를 거부하고 테러리스트로 간주해 교수형을 집행했다.

한국인이라면 누구에게나 익숙한 이름 안중근. 영화 ‘하얼빈’은 ‘이토 히로부미 저격 의거’에 카메라를 들이댄 작품이다.

20세기 초반. 나라를 잃은 젊은이들이 개인적 두려움을 떨치고, 대의와 명분 앞에 당당하고자 했던 모습을 가감 없이 담아내 관객들의 호평을 불러냈다.

안중근 역을 맡은 현빈만이 아니라 조우진과 전여빈의 조연 연기도 빼어났으며, 차갑게 얼어붙은 두만강과 몽골 현지 촬영으로 담아낸 광대한 사막의 모습이 보는 이의 감탄을 자아낸다.

오늘 우리가 누리는 평화와 자유가 누구의 희생과 노력으로 얻어진 것인지를 생각해보는 설날도 의미가 클 것이다.

이에 동의한다면 영화관을 찾아 ‘하얼빈’과 만나면 된다.

영화 '소방관' /영화 홈페이지
영화 '소방관' /영화 홈페이지

자기희생 제단 위에서 사는 사람들… ‘소방관’

공포와 두려움은 인간의 보편 감정이다. 그러나, 우리 곁엔 두려움과 공포를 목적의식적으로 극복하며 매일을 죽음 곁에서 사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있다.

타인을 위험에서 구해내거나, 재난 현장에서 자신을 던지는 이들은 숭고하다. 이는 그저 레토릭(rhetoric)이 아니다.

사실이 그렇다. 소방관이 존중받아 마땅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도저한 자기희생의 제단 위에 서있는 직업이 소방관이 아닐까.

곽경택이 연출한 영화 ‘소방관’이 사람들 사이에서 화제다.

2001년 봄 서울 홍제동에서 발생한 방화사건을 소재로 한 이 작품은 주연과 조연 가릴 것 없는 배우들의 호연과 사실감 넘치는 영상으로 관객들의 이목을 끈다. 영화 속에서 소방관으로 분한 배우 둘은 이런 대사를 주고받는다.

“형은 안 무서워요?”

“무섭지. 근데 내가 여기서 물러서면 저 사람들이 죽어.”

실제로 홍제동 화재로 인해 소방관 6명이 순직했다. 영화는 현실의 토대 위에 상상력을 더해 소방관의 고뇌와 사명의식을 사실적으로 그려낸다.

비극적 결말과 마주한 여성 관객 다수가 소리 내 울었다는 후문. 메마른 가슴을 적실 카타르시스가 필요한 이들에게 어울리는 영화다.

/이석윤·홍성식기자

기획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