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경북 관광객을 유혹할 음식들

등록일 2025-01-16 18:12 게재일 2025-01-17 19면
스크랩버튼
신광조 ​​​​​​​​​​​​​​사실과 과학 시민네트워크 공동대표
신광조 ​​​​​​​사실과 과학 시민네트워크 공동대표

나는 천하의 장돌뱅이다. 바람 따라 떠도는 떠돌이다. 전국 방방곡곡 ‘가슴에 사랑 안고 달 가듯’ 간다.

올해는 ‘경북 방문의 해’다. 동해선 등 5개 철도 노선이 동시 개통된다. 태백산맥의 수려한 자연경관, 청정 해변과 금강송 숲 어우러진 동해안, 고즈넉한 전통이 깃든 역사 유적지를 둘러보면 시름이 사라지고 마음 부자가 된다. 관광 프로그램과 콘텐츠, 그중 첫 번째는 친절이고 두 번째는 식도락이다. 음식만큼 뇌리에 남는 것이 없다.

어느 지역을 다니든, 주민들 생각하며 8색조(色調) 수선화를 준비한다. 자식 교육비 걱정하지 않고, 가끔 부부 손잡고 해외여행을 다닐 수 있도록 해드리고 싶어서다.

전라도는 양념류 채소와 젓갈, 유배 문화 영향으로 음식이 발달했다. 경상도 음식은 담백하다. 내륙으로 가면 짜진다. 자식들 오랜만에 집에 올 때 먹이는 마음으로 음식을 장만해 보자. 나를 울린 대구·경북 8가지 음식이다. 관광 코스 식단 메뉴에 넣자. 또 수도권 등 전국에 식당을 열어 국민 건강을 증진시키고, 지역 이미지메이킹을 하자.

① 소고기: 경북에서 가장 강한 음식 재료는 소고기다. 특히 영주 등 소백산 기슭에서 자란 소고기 맛은 살살 녹는다. 대구에는 광주 생고기에 해당하는 ‘뭉티기’가 있다. ‘뭉티기’ 한 접시에 소주 한 병이면 부러울 게 없다. 무를 듬뿍 넣고 대파를 송송 썰어 넣은 빨간 소고기 국도 참 맛있다.

② 고등어: 고등어에 굵은 소금을 뿌려 간 맞추는 ‘간잽이’는 예술가다. 겉은 바삭바삭하고 속은 보들보들해 자반만으로도 밥 한 공기가 부족하다. 고등어 무조림·묵은지 찌개에 또 한 공기다. 안동에 가면 헛제삿밥, 안동 국시, 안동찜닭에 안동소주로 천국에 온 듯하다.

③ 꽁치: 구룡포에 가면 쫄깃 쫀득한 ‘과메기’ 맛에 취해 인생이 익고 사랑이 익는다. ‘과메기’를 세 번 먹으면 거친 겨울 바다도 두렵지 않다. 꽁치는 회로도, 연탄불 찌개로도 끝내준다. 포항 바닷가에 홀로 앉아 ‘영일만 친구’를 부르면 날이 새고 해가 뜬다. 전남 강진·해남지역에서 나는 김국을 곁들이면, 매출이 두 배로 는다.

④ 물곰: 영덕 강구항이나 죽변항 바닷가 식당에서 파는 물곰 지리국은 지난밤 음주로 인한 쓰린 속을 달래는 데 최고다. 전주 콩나물 해장국에도 전혀 뒤지지 않는다. 술꾼이라면 누구나 다 안다.

⑤ 돌미역: 울진과 영덕 등의 돌미역은 산모의 건강 회복에 최고지만, 맥주 안주로도 좋다. 자연산 홍합으로 미역국을 끓이면 바다를 통째로 먹는 기분이 든다. 돔이나 민어 미역국도 소고기 미역국보다 더 맛있다.

⑥ 닭: 꿩 대신 닭이라고 했던가. 냉장고가 없던 시절, 닭고기를 장(醬)에 보관했다. 오래 묵은 장에서, 장을 먹은 닭을 꺼내어 떡국을 끓이면 백년손님인 사위가 오면 닭을 잡는 이유를 알 수 있다.

⑦ 송이버섯: 강원도와 더불어 경북 북부 지역에서도 송이버섯이 꽤 난다. 맛과 향기, 그리고 약효가 절묘하게 결합된 최고의 식품이다. 소고기 송이구이도 귀하지만, 샐러드로 만들면 가을 별미가 된다.

⑧ 토란: 토란은 땅의 달걀이다. 일본인들이 즐겨 먹는 식품이다. ‘토란 속대 숙회’도 별미다. 닭고기를 삶은 육수에 알토란을 넣은 뒤, 닭고기를 결대로 찢어내어 삶은 알토란을 돌려 담으면 고급스럽고 몸에도 좋은 음식이 된다.

호남에서 보내온 서신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