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항이여, 5차 산업혁명 진원지가 되어라

등록일 2025-01-09 19:34 게재일 2025-01-10 19면
스크랩버튼
신광조​​​​​​​사실과 과학 시민네트워크 공동대표
신광조​​​​​​​ 사실과 과학 시민네트워크 공동대표

대구와 경북이 위대한 이유는, 1870년 전기를 이용한 대량 생산이 본격화된 2차 산업혁명과 1969년 컴퓨터 정보화 및 자동화 생산 시스템이 주도한 3차 산업혁명을 한국에서 가장 빠르게 수용해 국민의 배고픔을 해결했기 때문이다.

현재 진행 중인 4차 산업혁명은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으로 이뤄지는 산업혁명으로, ‘초연결·초지능·초융합’이 핵심 키워드다. 이는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로봇 기술, 드론, 자율주행차, 가상현실(VR) 등이 주도하는 산업혁명으로, 2016년 6월 스위스에서 열린 다보스 포럼에서 의장이었던 클라우스 슈밥은 “이전의 1, 2, 3차 산업혁명이 전 세계적 환경을 혁명적으로 바꾼 것처럼 4차 산업혁명이 전 세계 질서를 새롭게 만드는 동인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4차 산업혁명 원조는 독일이다. 그러나 미국이 독일의 ‘인더스티리 4.0’을 가져다가 ‘4차 산업혁명’이라고 명명하고, 세계 경제포럼의 대대적인 행사와 저서를 통해 원조 행세를 해왔다.

모든 산업혁명에는 빛과 그림자가 있다. 산업주도권을 미국에 뺏긴 EU는 “보다 따뜻하고 지속가능하며 인간과 자연을 위한 산업혁명 철학과 관점”에서 2020년부터 ‘5차 산업혁명’을 본격 제기하고 있다. 논의의 초점은 4차 산업혁명 빛에 가려진 우울한 회색빛 그림자를 ‘그린(Green)’의 생명력으로 치유하여, 우리 모두와 지구가 행복해지는 것이다.

5차 산업혁명 논의는 이제 시작단계다. 지구환경보호를 위해 지속가능성이 고려돼야 하고, 생산프로세스에 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새로운 기술개발보다는 인간행복 관심에 중점을 둬야 하며, 산업생산에서 높은 수준의 견고한 사랑과 위기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인프라를 제공해야 함을 강조한다. 지속가능성·인간 중심·탄력성을 3대 핵심요소로 한다.

유럽위원회가 밝힌 인더스트리 5.0의 6대 기술을 유심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개별화된 인간·기계의 상호작용 △생물에서 영감을 얻은 기술 및 스마트 재료 △디지털 트윈 및 시뮬레이션 △데이터 전송, 저장 및 분석기술 △인공지능 △에너지 효율성, 재생에너지 및 저장을 위한 기술이다. 여기에서 한국에서 발전가능성이 높고 치고 나갈 수 있는 분야는 ‘생물에서 영감을 얻은 기술(청색기술)’이다.

우리 앞에 4차 산업혁명이 달려가고 있고, ESG혁명이 압박하고 있고, 5차 산업혁명이 추격하고 있다.

우리는 세계경제포럼이나 다른 나라가 5차 산업혁명을 추진할 때를 기다릴 필요가 없다. EU에서 5차 산업혁명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졌고, 국가는 자국이해관계 따지며 저울질하고 있지만 세계 지성들은 인류문명의 올곧은 전환을 위한 지름길로 인정하고 있다.

망설일 필요가 없다. 매가 지상의 먹이를 발견하면 전속력으로 수직낙하 하듯 돌진해야 한다. 아무리 보아도 포항이 적격·적소다. 포스코와 포항공대 때문이다. 국내에는 얼마 전 ‘인더스트리 5.0’책자를 발간한 이인식 지식융합연구소장 등 10여 명의 전문가가 있다. 포항을 ‘5차 산업혁명 특구’로 선포하자. ‘청색기술 연구소’ 설립 등을 통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경제의 돌파구와 활력을 찾아주자. 이제 우리도 선진국의 산업 기준을 따라가는 국가에서 벗어나, 새로운 기준을 창조하는 국가로 변신해야 할 때가 왔다.

호남에서 보내온 서신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