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얼마 남지 않은 시간

등록일 2024-12-30 18:45 게재일 2024-12-31 17면
스크랩버튼
어린 시절 필자 남매와 함께 한 할머니.

집에 아픈 사람이 있는 건 괴로운 일이다. 즐거운 순간에도 온전히 즐거울 수 없고, 여행을 가더라도 갑작스런 복귀를 늘 생각해야 한다. “할머니 안 좋아” 엄마의 전화를 받고, 삶도 죽음도 아닌 시간에 걸쳐 있는 사람을 사랑한 내 12월은 춥고 어두웠다. 윤석열의 계엄으로 보름 동안 피곤했는데 나머지 보름마저 고통스러웠다.

폐렴 합병증으로 승압제를 쓰고 호흡기를 댔다. 보기에 오늘 내일 하는지라 장례식장을 알아봤다. 삼일장 대신 가족장 이틀만 치르자, 영정사진은 준비해뒀으니 다행이다, 호국원에 전화해 할아버지 옆에 봉안하는 절차를 물어봐야지… 산 사람을 두고 죽음의 형식을 생각하려니 내키지가 않는다.

살 만큼 사셨지만 살아도 산 게 아니니 나는 내 할머니가 마냥 불쌍하다. 어려서 일본군 비행장 가까이 살아 청력을 거의 상실하고 자라서는 시력을 또 거의 잃었다. 근대 교육의 세례를 받지 못한 채 평생 장애인으로 살았다.

그래도 장남이 모시고는 살았다. 환갑잔치도 해주고, 손주들 재롱도 보게 하고. 그때 베란다에서 할머니를 도와 톱질하고 망치질 해 닭장을 만들던 일은 참 재밌었다. 유년의 기억이 생생한 나는 아침빛에 눈이 부셔 얼굴을 찡그릴 때면 찡그린 내 얼굴과 겹쳐지는 할머니 얼굴을 감각한다.

안 보이고 안 들려서 늘 일그러져 있는 그 얼굴을. 내가 처음 노래를 배울 때에도, 개가 새끼를 낳는 경이로운 순간을 목격할 때에도, 참외의 단맛을 처음 알 때에도 할머니와 있었기에 그저께도 노래를 부르면 ‘고향의 봄’을 흥얼거리는 할머니가, 어제도 공원을 산책하는 개들을 보면 분홍색 플라스틱 화분받침에 개밥을 담던 할머니가, 저번에 과일가게를 지나면 참외를 깎던 할머니가 자꾸 보인다.

잠깐 좋은 시절도 있었지만 IMF때 집안이 망하면서 박스 주웠다. 잘 듣지도 보지도 못하면서 리어카를 끌고 고철과 폐지를 주워 내게 교복을 사 입히고 용돈을 줬다. 그래 나는 한 때 신을 사랑했으나 지금은 원망한다. 신이 주어야 할 사랑을 인간의 몸으로 내게 준 할머니에게서 신은 처음엔 귀를, 다음엔 눈을 앗아갔다. 보청기는 무용지물이고 완전실명한지 10여년 됐다. 그러더니 고관절을 부러뜨려 다리를 빼앗아갔다. 듣지도 보지도 걷지도 못하는 이에게서 빼앗을 게 더 있는지 입으로 못 먹게 했다. 장에 연결된 호스로 물과 죽을 받는 식물로 만들었다.

요양병원에서 조금 큰 병원으로, 거기서 다시 요양병원으로 전원과 퇴원과 입원을 반복할 때마다 벌써 몇 번 연명치료중단 동의서에 엄마와 함께 서명을 한다. 요양병원에 8년째 누워 있는 할머니를 며느리인 엄마가 수발하는 집안 내력이 수치스럽다.

아버지와 그 형제들이 밉지만 나는 아버지가 되지 않으려 애써 미워하지 않는다. 아버지의 엄마인 할머니를 보면서, 저 고통스런 육체로부터 할머니의 해방을 위해, 그리고 엄마의 자유를 위해 이제 돌아가셨으면 하다가도 마른 흙을 움켜쥔 앙상한 나무뿌리처럼 오그라든 저 손이 자꾸 살고 싶다고 꿈틀대는 것 같아서, 살 수 있을 때까진 사시길 다시 바란다. 식물처럼 누워서도 생각을 하고 꿈을 꿀 수도 있잖아, 아니야 저렇게 숨만 붙어 있는 게 무슨 의미가 있어…

이병철 문학평론가이자 시인. 낚시와 야구 등 활동적인 스포츠도 좋아하며,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이병철 문학평론가이자 시인. 낚시와 야구 등 활동적인 스포츠도 좋아하며,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그래도 사셔야지. 일부러 불온한 생각을 했다. 신은 간절할 때 배신하니까, 기도하면 거꾸로 들어주니까. ‘온라인 부고장에 가족들 각자 계좌번호를 넣는다더라’, ‘이미 잡힌 연말 약속은 어떻게 취소하지’… 그러면 신이 어디 네 생각대로 되나 보자며 할머니를 좀 낫게 해줄까봐서. 그게 통했는지 위험한 고비를 넘겼다. 그러자 이번엔 제대로 기도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그날 밤에는 십여 년 만에 무릎 꿇고 기도했다. 좀 더 살게 해달라고. 너무 불쌍하지 않느냐고.

엄마랑 매달 의료기기점에서 기저귀와 패드를 사 병원에 갖다 주는 걸 나도 8년 했다. 돌아가시면 슬프겠지만 그 슬픔마저 건천이 되도록 사람을 쥐어짜서는 무덤덤해졌을 때에, 차라리 죽는 게 낫다고 말하게 될 때에 사랑하는 이를 데려가는 신은 잔인하다.

아니 어쩌면 감정을 탈진시키는 게 배려인지도 모르지. 할머니는 아직 살아 있다. 하지만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내가 뭘 할 수 있나. 그저 일상을 살다가 이별의 순간 무섭지 않게, 외롭지 않게 손이나 꼭 잡아주는 것밖에는. 고작 그것만으로 전해지는 사랑이 있을까. 내가 받은 사랑은 온 세상인데…

2030, 우리가 만난 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