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박 5일의 아제르바이잔 바쿠 여정. 바람 세차게 부는 공항에서 곧바로 메르큐어 호텔(Mercure Baku City)로 가 여장을 풀었다. 높은 지대에 위치한 고풍스러운 호텔이다.
이번 학술대회 이름은 ‘아시아인의 문학: 전통과 새 경향’(Literature of Asian: Traditions and Modern Tendencies). 아제르바이잔 사회과학원 산하 문학연구소 주최다. 내가 맡은 역할은 기조 강연. 발표 주제는 ‘동아시아론을 넘어서’(East Asian Discourse and the New Future of Korea).
다음날 오전에 발표를 마쳤으므로, 오후 세션은 홀가분했다. 나를 초청해 준 레르드한 교수의 세션에서 빠져나와 대회장 건물 1층 서점을 둘러본다. 카라바흐 지역, 나흐치반 자치공화국, 이라반 왕국에 관한 책들이 진열되어 있다. 이 말들은 아제르바이잔의 아픈 역사를 가리킨다. 아제르바이잔은 아르메니아와 두 번 전쟁을 치르면서 카라바흐 지역을 되찾았다. 아르메니아 안에는 아제르바이잔 영토로 고립되어 있는 ‘나흐치반’ 지역이 있고, 지금 아르메니아의 수도의 이름이기도 한 ‘이라반’은 아제르바이잔 고대 왕국이었다.
아제르바이잔 사람들은 투르크족 계열이다. 투르크어를 쓰는 한국인들의 친족 민족들이다. 몽골과 위구르를 지나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으로 이어지고, 카스피해 건너로 아제르바이잔과 튀르키예가 긴 띠를 이룬다.
다음 날 아침, 문학연구소를 둘러보고 사회과학원 한 모퉁이에 나무를 심는다. 방문한 연구자의 나라마다 심을 여유는 없다. 나는 중국의 연구자 두 사람과 함께 나무를 심는다. 아제르바이잔 아카데미 학술행사 끝내고 바쿠 교외의 ‘불타는 산’(Yanar Dag)에 다녀오자 날이 저문다. 마지막 방문지는 ‘순교자의 길’(Martyrs’Lane)이다. 입구에서 주최 측이 카네이션 꽃송이들을 나누어 준다. 이 카네이션은 ‘검은 1월’ 사태 이후로 나라를 위해 희생한 이들의 상징이 되었다.
‘검은 1월’(Qara Yanvar)이란, 1990년 1월 19~20일에 독립을 염원하던 아제르바이잔 사람들이 소비에트 연방 군대에 학살당한 참사를 가리킨다. 여전히 ‘사회주의’ 소련이 군림하던 상황에서 아제르바이잔 사람들은 자유를 위해 일어났다. 소련 특수부대가 바쿠로 진격해 많은 시민들을 무차별 학살했다.
이 학살극 속의 저항과 희생에 힘입어 아제르바이잔 사람들은 소련이 해체되기 전 1991년 10월 18에 독립을 쟁취한다. 겉으로 사회주의를 표방한 소련 제국주의의 기나긴 통치로부터 극적으로 해방과 자유를 쟁취한 것이다.
어둠 속의 참배, 돌아 나오면서 눈앞에 보인 세 개 빌딩에 검붉게 타오르는 횃불. ‘불의 나라’ 아제르바이잔을 상징하는 저 횃불은 인간에게 자유가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말해준다.
머나먼 동아시아의 한 조그마한 나라를 생각한다. 대한민국, 우리나라, 조국, 자유를 향해 지금 다시 고통스러운 여정을 통과해 가는 나라. 과연 잘 헤쳐나갈 수 있을까. 그 나라에서는 늘 진실이, 멀리, 파스칼의 ‘숨은 신’처럼 존재한다. 아예 보이지 않는다면 믿지 않아도 될 것을. 늘 보인다면 홀로 애써 찾는 고통을 겪지 않아도 될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