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시립박물관이 6일 ‘경산 와촌면 소월리 유적의 성격과 가치 재조명’을 주제로 제3회 경산시립박물관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사진>
이번 학술대회는 청동기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유구와 유물이 출토된 소월리 유적의 환경과 유물의 성격, 역사적 의미를 조명했다.
경산지식산업지구 진입도로 개설을 위한 발굴조사 과정에서 확인된 소월리 유적에서는 삼국시대 유물인 얼굴 모양 토기와 목간(木簡), 목기 등이 발굴돼 학계와 대중의 큰 관심이 쏠렸다.
삼국시대 76호 구덩이에서 출토된 얼굴 모양 토기는 한 토기에 세 가지 얼굴이 표현된 독특한 유물로, 국내 유일한 사례다.
또 길이 74.2cm에 98자가 기록된 목간은 당시 지명, 논밭 종류, 토지 면적 등이 담겨 있어 학계 주목을 받고 있다.
학술대회에서는 류춘길 한국지질환경연구소 소장이 ‘경산 소월리 유적 일대의 고환경과 토지 이용 양상 검토’를, 남익희 세종문화재연구원 부장의 ‘경산 소월리 유적 출토 토기의 성격과 편년’을 주제로 발표했다.
또 손명순 신라문화유산연구원 팀장이 ‘경산 소월리 출토 인면 투각 토제품과 의례’, 이용현 전 경북대 인문학술원 교수가 ‘경산 소월리 목간을 둘러싼 논점과 그 심층 검토’, 김재호 경북대 영남문화연구원 교수도 ‘경산 소월리 일대 수리시설로 본 지역 개발’을 주제로 발표했다.
경산시립박물관 관계자는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경산 소월리 유적의 역사적 가치가 새롭게 조명되었길 바라며 출토된 유물이 학계뿐만 아니라 대중에게도 널리 알려질 수 있도록 지속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심한식기자 shs1127@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