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21그루 나무 여행, 느낌은?

한상갑기자
등록일 2024-12-05 19:24 게재일 2024-12-06 14면
스크랩버튼
언론인 이종민 ‘대구의 나무로 읽는 역사와 생태 인문학’ 출간<br/>사계절의 흐름따라 대구지역 21종 나무 역사·에피소드 탐사<br/>달성공원 徐沈·제일교회 현제명·종로초교 최제우나무 등 소개
도동서원 입구의 400여 년 된 은행나무. /대구 달성군 구지면 제공
도동서원 입구의 400여 년 된 은행나무. /대구 달성군 구지면 제공

매일신문 기자 출신인 이종민 전 선임기자가 나무에 대한 성찰과 기록, 에피소드를 모은 ‘대구의 나무로 읽는 역사와 생태 인문학’(학이사)을 펴냈다.

계절 별로 사랑 받는 나무의 종류와 그 수목에 얽힌 다양한 스토리텔링을 담아냈다.

우리에게 나무는 늘 접하는 일상이고, 생활의 일부였지만, 대구 지역에 오랫동안 터를 잡고 자란 나무와 새롭게 뿌리를 내리는 나무를 중심으로 역사, 인문학적 스토리를 간결한 문체로 정리했다.

계절의 흐름에 따라 사람들의 사랑과 관심을 받는 총 21종의 나무에 얽힌 역사와 설화, 식물에 대한 기본 지식을 사진과 함께 담았다.

저자는 ‘대구에는 훌륭한 인물들을 기리기 위해 나무에 위인들의 이름을 붙인 경우가 많다’고 말한다. 중구 달성공원의 서침(徐沈)나무, 대구제일교회의 현제명나무, 중구 종로초등학교의 최제우나무, 동구 옻골의 최동집나무, 천주교대구대교구청의 타케나무 등이 좋은 예다.

30여 년 넘게 기자로 활동한 저자는 전문 지식을 나열하기보다 발로 뛰며 취재한 내용을 통해 배경처럼 스쳐 지나가던 나무에 스토리텔링을 입히고, 생명력을 불어넣었다.

나무들, 특히 수백년 수령의 노거수들은 그 자체로 역사요, 역사의 증언이다. 저자의 고향인 경북 포항시 청하면의 행정복지센터 마당에는 수령 300년을 넘는 회화나무가 있다. 조선 후기 청하현감으로 부임한 화가 겸재(謙齋) 정선이 그린 ‘청하성읍도’에도 등장한다.

나무는 누구에게나 존재하지만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의미 있는 대상’이 되기도 하고 무의미한 사물의 일부로 여겨질 수도 있다. 애정 어린 눈길로 늘 수목을 대해왔던 저자에게 나무는 감상의 대상이자 기록, 수집의 대상이었다.

저자는 대구·경북의 노거수와 정원수 그리고 보호수로 지정된 나무들을 탐독하며 계절마다 사진을 찍어 모았다. 사찰, 서원, 향교, 재실, 종택 등 사람이 기거하는 지역뿐만 아니라 깊은 산골이나 벌판에 서있는 나무를 보면서 자연의 위대한 이치를 느끼고, 선인들의 전설과 설화를 듣게 되었다. 저자는 “그렇게 알고, 보고, 모으다 보니 예전에 무심코 보던 나무가 다시 보이기 시작했다”고 말한다.

책은 계절의 흐름에 따라 네 가지 주제로 나뉘어 있다. 1부에서는 백화경염(百花競艶)의 계절인 봄을 ‘뭇 꽃들 경쟁’이라는 주제로 묶었다.

2부 여름에서는 ‘신록의 잔치’를 주제로 한창 커가는 나무의 화양연화 세계를 다뤘다. 뽕나무와 양잠에 얽힌 청사, 옥황상제 정원에 피는 꽃이라는 배롱나무꽃 백일홍, 역사를 증거하는 수백 년 된 회화나무 등을 다루었다.

3부 가을에서는 ‘화려한 결실’에 초점을 맞추고 나무들의 막바지 정염인 감홍난자(酣紅爛紫) 단풍과 추풍낙엽을 즐긴 선비들의 노래도 담았다. 봉황이 앉아 쉬는 상서로운 나무는 벽오동으로, 화투의 11월을 상징하는 속칭 똥광에서 그 모습을 볼 수 있다.

4부 겨울은 ‘홀로 선 나무’에 집중해 추위에도 푸르름을 잃지 않는 절개와 지조의 상징에 주목한다. 대나무, 전나무, 측백나무 등 곧은 모습만큼이나 우리 역사와도 깊게 관련돼 있는 경우가 많은데 그 작은 에피소드들을 작은 서사로 모았다.

/한상갑기자 arira6@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