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깊은 곳에 나무를(부분)

등록일 2024-11-25 18:57 게재일 2024-11-26 18면
스크랩버튼
김중일

지상 깊은 곳에 드리워진 세상의 나무들은

지금껏 죽어간 아이들의 수와 일치한다

나는 이런 근거 없는 확신에 싸여 있는데

나무가 나무를 떠나지 못하는 건 사람들 때문일까

사람들은, 왜 나무를 떠나지 못할까

대낮에 나무에 기대 울면서 나는 의문에 싸여 있는데

죽은 아이들이 지하에서 지상으로 던진 나무에

살아가는 세상 모든 것은 왜 스스로 붙잡힐까

오늘도 어디선가 산 채로 불타고 있을 나무들을

죽은 아이들은 대낮이 잿빛이 되도록 왜 거두지 않을까

어떤 의문은 유일한 답이 된다

시인은 나무들로부터 “죽어간 아이들”을 본다.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는 전쟁이 계속되고, 아이들은 “산 채로 불타” 죽어간다. 가자와 레바논. 시인은 그렇게 생명을 펼치지 못하고 죽은 아이들을 생각하며 “나무에 기대 울”고 있다. 그 나무들을 “죽은 아이들이 지하에서 지상으로 던진” 넋이라고 여기면서. 아이들은 그 나무들을 “대낮이 잿빛이 되도록” 거두지 않는다. 그렇게 세상에 자신의 죽음을 증언한다. <문학평론가>

이성혁의 열린 시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