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에서 역사를 만나다-조선인 강제동원 흔적 찾아 오토바이로 일본 일주’ 출간
“광복 이후 80년이 지났지만 일본은 여전히 조선인 강제동원 사실을 인정하지 않고, 책임을 회피하고 있습니다. 다큐멘터리 사진가로서 왜곡과 과장 없이 있는 그대로의 역사를 기록하는 것이 한국과 일본 두 나라의 발전적인 미래 관계에 도움이 된다는 믿음으로 이번 일본 일주를 기획했습니다.”
도서출판 학이사는 최근 ‘조선인 강제동원 흔적을 찾아 떠난 오토바이 일본일주 - 길에서 역사를 만나다’를 펴냈다.
저자는 20년 차 현직 방송기자로, 2005년부터 KBS 대구방송총국 보도국에서 근무하는 우동윤 기자다.
저자는 일제강점기 유일한 바닷길이었던 관부연락선(関釜連絡船) 항로를 따라 일본에 도착한 뒤, 한 달 동안 오토바이로 6,107km를 달리며 일본 전국 조선인 강제동원 현장을 답사했다.
저자는 일본 내에 남아 있는 조선인 강제동원 흔적이 있는 현장을 오토바이를 타고 둘러보기로 계획을 세우고, 일본 본토 최남단인 규슈에서 최북단인 홋카이도까지 일본 곳곳에 흩어져 있는 조선인 강제동원의 흔적을 오토바이를 타고 다니며 답사했다.
특히, 1901년 조선인 150여 명이 동원돼 일본 철도공사 최초의 조선인 동원 사례로 알려진 구마모토현 히사츠선의 오코바역과 1909년 건설 당시 일본 최대 높이의 철도 교량으로 조선인 3천여 명이 동원됐던 효고현의 아마루베철교 등 그동안 국내에 잘 알려지지 않았던 조선인 강제동원 현장을 글과 사진으로 남겼다.
저자는 조선인 강제동원이 단지 전쟁 수행을 위한 일본의 만행이었다는 인식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일본이 중일전쟁을 계기로 1938년 제정한 국가총동원법 이후 조선인 강제동원이 무차별적으로 자행됐기 때문에 전쟁 당시가 부각됐을 뿐, 조선인 강제동원은 1910년 불법적인 한일병합 이전부터 광범위하게 이뤄졌다는 것이다.
독자들이 강제동원 현장과 위령비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부록에는 답사지의 위도와 경도를 표기했다. 학이사/240쪽/1만7500원.
/한상갑기자 arira6@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