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덕 시장, 아제르바이잔·튀르키예 방문 성과 밝혀<br/>‘S.I.W 포항’ 유치·베이욜루구 도시와 파트너십 설명
이강덕 포항시장은 19일 “대한민국의 포항을 넘어 세계가 인정하는 국제 마이스 산업 도시 ‘포항’으로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이날 기자 간담회에서 지난 11일부터 18일까지 아제르바이잔 바쿠와 튀르키예 이스탄불을 방문한 성과를 설명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출장에서 시는 2025년 상반기 유엔기후변화 글로벌혁신허브(UGIH)의 부속 회의인 S.I.W 포항 개최를 이끌어 냈다. 이는 유엔 기후행동 플랫폼 UGIH의 프로젝트 회의로 12개국 100여 명이 참가해 도시의 당면 과제에 대해 논의하고 솔루션을 제시하는 회의다.
이 시장은 “바쿠에서 제29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 참가해 포항의 탄소중립실현 우수사례를 세계 여러 국가와 공유하며 포항이 가진 경쟁력을 대외로 알리는 계기가 됐다”며 “각국 정부의 대표와 국제기구, 민간기업 등과 소통해 대규모 국제회의 유치를 위한 기틀을 확실히 다졌다”고 설명했다.
또한 유엔을 비롯한 국제기구 회의 유치를 위해 에마니 쿠마 이클레이(세계지방정부협의회) 부사무총장, 마쌈바 티오예 유엔 글로벌혁신허브 총괄책임자, 츠용 조우 UNIDO 부국장 등 인사들을 잇따라 만나며 국제회의 유치 가능성을 한층 높였다.
튀르키예에서는 문화예술의 도시 베이욜루구와 교류협력의향서를 체결하고 새로운 글로벌 파트너십을 구축했다. 두 도시는 문화예술 창작 및 전시 교류를 비롯해 지역 관광 프로그램, 민간 및 인적 교류에 상호 협력하는 한편 이를 위해 자매우호 도시 협약 체결을 서두르기로 했다.
또, 이 시장은 튀르키예 명문대 이스탄불 대학교에서 특강을 통해 신산업 대전환을 이뤄낸 포항의 성과를 소개하고, 한국 문화에 관심이 많은 한국어문학과 학생들을 ‘포항 글로벌 SNS 서포터즈’로 임명했다.
한편 현대제철 2공장 가동 중단 등 지역 철강산업 위기와 관련해서는 △ 중소기업특별지원지역 연장 △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 등을 정부에 강력히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자신의 지난 지방선거 공천과 관련된 질문에 이 시장은 “보도를 접하고 충격적이었다. 공당의 공천은 합리적이고 미래지향적이어야 하는데 어떻게 이런 일이 있을 수 있나. 시민들도 많이 놀라셨겠다 생각했다”며 “선거는 이미 끝났고 과거에 묻혀 왈가왈부할 필요가 없다. 국회의원을 비롯한 포항의 모든 정치인들은 도시 발전을 위해 다함께 힘을 모아 앞으로 나가야한다”고 말했다.
/이석윤기자 lsy72km@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