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오늘은 월요일(부분)

등록일 2024-11-04 19:54 게재일 2024-11-05 18면
스크랩버튼
김병호

일찍 커버린 아이의

빈방에 앉아 창밖을 본다

썼다 지웠던 안부처럼

꽃눈이 환하다

꽃의 자리를 더듬으며

아이는 먼 곳을 생각했겠다

가끔 눈이 매웠겠다

내게도 강이 있어

길게 흐를 수 있다면

아이의 다정이 아직 남아

아껴놓은 비밀을 읽을 수 있다면

이 마음을 갚을 수 있을까

새 주가 시작하는 월요일. 창밖엔 새로 피어날 듯 “꽃눈이 환하”고, “일찍 커버린 아이”도 이제, 창밖 “꽃의 자리를 더듬으며” 자신이 나아갈 길-“먼 곳”-을 스스로 찾기 시작할 테다. 시인은 아이에게 닿는 긴 강이 자신에게 여전히 있어서 아이의 “아껴놓은 비밀을 읽을 수 있”기를 바란다. 그래야 아이가 그에게 준 “마음을 갚을 수 있을” 것이기에. 물론 “아이의 다정이 아직 남아” 있어야 그 갚음은 가능하리라. <문학평론가>

이성혁의 열린 시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