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스프링클러 설치 20% 불과 포항 초·중·고교 화재 취약

이석윤 기자
등록일 2024-10-31 19:44 게재일 2024-11-01 7면
스크랩버튼
2005년 이전에 건축된 학교<br/>설치 의무화 소급 적용 안돼<br/>전문가 “점검기준 강화해야”

포항지역 초·중·고등학교내 스프링클러 설치가 아직 안 된 곳이 많아 화재 발생시 초기대응에 취약하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최근 사상자 19명을 낸 부천 소재 호텔에서도 스프링클러가 없어 피해가 컸던 만큼 학교 화재에 대응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본지가 포항교육지원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체 초중고 100곳중 스프링클러 설치가 돼 있는 곳은 20곳 (설치율 2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로 보면 초등학교 66곳중 8곳(12.1%), 중학교 23곳중 7곳(30.4%), 고등학교 11곳중 5곳(45.5%)이다.

현행 ‘소방기본법’에 따라 학교는 2005년 이후 4층 이상 연면적 1천㎡이상 건물에는 스프링클러 설치가 의무화됐으나 법 개정 이전에 건축된 노후 학교는 소급 적용이 되지 않아 화재에 취약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법적 의무 설치 기준을 적용받지 않더라도 자발적으로 갖출 수 있지만 수개월의 공사 기간과 소요 예산 확보가 어려워 대응은 소극적인 실정이다.

소방 관련 전문가들은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화재 사고에 아이들이 당황하기 쉽고 평소에 알고 있던 예방 및 대처법도 잊지 쉽다” 며, “IT 장비 사용의 증가로 화재 위험이 커지고 있는 만큼 아이들 안전과 직결되는 소방시설 점검 기준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교육청 관계자는 “관련 법률 적용 대상 학교는 대부분 법정소방시설을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면서도 “기존 학교에 설비하려면 추가 예산 등 현재로서는 어려움이 있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국정감사때 국회 교육위 소속 강경숙 국회의원실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의하면 최근 5년간(2019년부터 올해 6월 현재까지) 경북지역 학교 화재는 65건으로 연평균 10건 넘게, 대구지역 화재는 28건이 발생했다. /이석윤기자

포항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