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농축산위 국감 자료 공개<br/>도내 9개 조합 3000억원 넘어<br/>부동산 거액 대출금 회수 못해
경북도내 수협의 부실 채권 규모가 수천여억 원에 달해 각 조합마다 비상이 걸렸다.
도내 수협은 울진군내 죽변 및 후포수협, 영덕군 축산·강구수협, 포항시 포항·구룡포·기선저인망수협, 경주수협, 울릉수협 등 9개 조합이 있다.
민주당 임미애 국회의원 등 국회농축산위 의원들이 이번 국정감사에서 공개한 자료에 의하면 도내 9개 조합의 부실채권은 3000억 원을 넘어가고 있다. 부실채권이 가장 많은 곳은 영덕군내 모 수협으로 900여억 원에 육박하며 울진의 한 수협은 800여억원, 포항지역의 수협도 600∼700억원대다. 다른 수협도 20∼100여억대의 부실채권을 안고 있다.
부실채권이 600여억원을 넘어가는 4개 조합은 서울지역에 소재한 건설업체들이 투자한 오피스텔 부지 등 부동산 11개 현장에 거액을 대출해줬다가 물렸다. 수협의 부실채권은 경북지역 외의 다른 시도 수협에서도 엄청나다.
수협중앙회는 예상외로 문제가 심각해지자 부실채권을 묶어 매각 또는 공매, 경매에 나섰으나 회수율이 부실채권의 50% 밖에 되지 않자 이마저도 포기하고 시장이 좋아지길 기다리고 있다.
부실채권 매각 회수율이 50% 밖에 되지 않으면 부실을 초래한 해당 수협이 나머지 50%를 떠안고 해결해야 하는 구조여서 특단의 대책이 나오지 않을 경우 자본잠식 등의 문제가 발생, 수협이 구조조정에 휘말릴 가능성도 없지 않다.
도내 각 수협들은 저마다 자산 매각 등을 통한 경영정상화 등 부실채권 해소 방안에 심혈을 기울이고는 있다. 하지만 올들어서도 여전히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면서 상황이 개선되기는 커녕 부실채권 등이 계속 증가, 10월 현재 이미 150여억원대나 되는 부실이 추가 발생한 곳이 나올 정도여서 저마다 고민이 적잖다.
특히 도내 수협 가운데 어선 세력이 큰 수협들은 고기가 잡히지 않으면서 선박을 담보로 대출받은 어민들의 부실채권이 증가하는가하면 경영에 큰 도움이 됐던 위판수수료마저 격감, 더욱 애를 먹고 있다.
도내 모 수협 관계자는 “현재 경북지역 수협들은 대부분 살얼음판을 걷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면서 과연 그 엄청난 부실채권을 정리하고 생존할 수 있을지 여부가 가장 큰 과제로 와 있다고 전했다. /기획취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