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울릉도 낙석 상습지역 '터널' 건설 안전확보…울릉읍 사동 물레치기 굽은 도로 편다.  

김두한 기자
등록일 2024-10-23 10:42 게재일 2024-10-23 10면
스크랩버튼
울릉도 섬일주도로 터널이 건설될 사동리 물레치기 구간
울릉도 섬일주도로 터널이 건설될 사동리 물레치기 구간

울릉도 섬 일주도로 차량운행이 가장 많은 울릉(사동)항~울릉읍 도동리 구간 중 상습낙석발생구간과  급커브길인 사동리 물레치기구간에 터널이 건설된다.

울릉군은 지난 2021년 낙석 및 급커브 위험 구간(물레치기~장흥교 구간 길이 150m, 폭 9m)에 총사업비 16억 원을 들여 낙석방지시설과 확·포장공사를 완공했다.

확장된 구간
확장된 구간

하지만, 절벽위에서 떨어지는 낙석과 급하게 휘어진 커브 길을 보완하지 못해 위험을 계속 안고 있었다.  이에 따라 울릉군은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 정비사업으로 터널공사에 들어간다.

총사업비 102억4200만 원을 들어 도동리 방향에서 진입하는 교량 확장 및 터널 100m를 건설할 계획이다. 현재 설계를 완료하고 보상 및 행정절차 이행 중이다. 

터널 건설 설계도.
터널 건설 설계도.

이 구간은 애초 2014년 섬 일주도로 확·포장 공사를 하다가 중단돼 반쪽 도로만 사용됐다. 바다와 맞닿는 해수면의 매립이 필요했지만, 예산을 확보하지 못해 5년간 방치됐다. 

특히, 바다를 메워야 하기 때문에 공유수면을 메우고자 포항지방해양수산청과 협의를 거쳐야해 시간이 걸리기도 했다. 협의 후 해수면을 시멘트 축대벽 공사를 통해 확·포장을 완료했다.

확장전 물레치기 구간 낙석방지 장치를 해도 위에서 떨어지는 낙석을 막지 못했다.
확장전 물레치기 구간 낙석방지 장치를 해도 위에서 떨어지는 낙석을 막지 못했다.

하지만, 울릉크루즈와 울릉썬플라워크루즈 등이 울릉(사동)항으로 운항하면서 울릉군 인구 70%가 살고 숙박시설이 밀집한 도동과 저동으로 이동하는 인구와 차량이 급증했다. 하지만 도로가장자리가 90도 절벽과 맞물려 있어 잦은 낙석과 급커브로 인한 사고 위험성이 제기돼 왔다.

울릉도 낙석지역은 대부분 피암터널을 건설했지만 이 지역은 워낙 급커브로 이뤄져 있어 피암터널을 건설할 경우 오히려 사고 위험이 높아질  것으로 진단돼 터널을 건설키로 했다.

이 지역에 터널이 건설되면 도로 선형이 일직선으로 개량되고 섬 일주도로 구간거리가 다소 짧아지는 등 사고 위험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김두한기자kimdh@kbmaeil.com

동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