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산섬 울릉도 섬 일주도로에 낙석이 잦아 낙석 위험 지역 피암터널 건설 등 장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울릉군에 따르면 22일 오후 8시30분쯤 섬 일주도로(북면 천부리 산 4-10번지 일원)국지도 90호선 내 삼선터널 죽암 방면 출구지점 130m 지점에서 낙석이 발생했다.
군은 이번 낙석은 지속된 강우로 인한 지반 약화에 따라 발생한 것으로 일주도로변 사면 약 200㎥(500ton )가 무너져 내렸다.
이번 낙석으로 인명피해는 없었으나 낙석방지망과 도로노면 및 측구 등이 심하게 파손됐고 삼선터널 전기가 끊겼다. 이로 인해 북면지역 주민들은 선창에서 석포리~죽암리로 우회도로를 이용하는 불편을 겪었다.
울릉군은 이에 따라 23일 오전 8시30분부터 굴삭기 2대와 덤프트럭 등을 동원해 낙석제거에 나섰지만, 작업 환경이 좋지 않고 큰 암석이 많아 이날 작업을 마무리하지 못했다.
더욱이 울릉산악구조대를 투입해 추가 붕괴가 우려되는 낙석 제거작업에 나섰으나 안전사고 위험 때문에 포기했다. 대원들은 이날 4시간 여동안 밧줄을 이용해 사면에 접근, 붕괴 위험이 있는 낙석을 제거하는 작업을 시도하다 철수했다.
군은 24일에도 굴삭기와 덤프트럭을 동원 일단 낙석은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추가 낙석지역은 대형 사다리차를 동원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등 추가 붕괴사고 예방대책도 추진한다.
하지만, 울릉도가 화산섬이 오랜 기간을 지나면서 풍화 작용 등으로 지반이 약해진다. 나무들이 자라면서 뿌리가 내리지만, 흙 심이 깊지 않아 흔들리면서 낙석, 산사태로 이어지고 있다.
앞서 지난 21일 오전 8시쯤 이번 낙석지역에서 죽암방면으로 약 100m 떨어진 지점에서 35t 규모 낙석이 발생했다.
울릉도에는 이달 11일부터 12일까지 308.7㎜, 20일부터 22일까지 175.7㎜의 비가 내리는 등 9월에만 모두 521.8㎜의 강수량이 기록됐다. 이 같은 강수량이 낙석과 무관치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울릉도에서 낙석 사고는 비교적 자주 발생하고 있다. 지난 7월 14일 오전 8시 50분쯤 서면 울릉일주도로 남서 1·2터널 사이 비탈면에서 무게 130t가량의 바위가 도로 한가운데로 떨어져 2시간 동안 차량 통행이 중단됐다.
지난 5월 6일에는 북면 일주도로 인근 산에서 돌이 떨어져 관광버스 지붕 환풍구가 뚫렸다. 이 사고로 낙석 파편에 맞거나 놀란 관광객 3명이 치료받았다.
또, 지난해 10월 2일에는 서면 남양리 거북바위 일부가 무너지면서 400t가량 낙석이 관광객 4명이 덮쳤다. 이 사고로 4명이 중경상을 입었고, 차량 1대가 파손됐다.
최근 1년 사이 울릉도에서 일어난 낙석 사고만 해도 여러 건이다. 울릉도는 화산섬이란 지형 특성상 깎아지른 듯한 절벽이 많아 도로에 돌이 떨어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낙석위험지역에는 피암터널을 건설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섬 일주도로 개설 시 북면 선창~죽암 간은 애초 터널을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았다.,
울릉도 주민 A씨는 "울릉도 지원특별법을 통해 봄철 해빙기와 폭우 때마다 반복되는 섬 일주도로 낙석사고 위험구간에 대한 항구적인 안전대책을 마련해 주민이나 관광객들의 안전을 지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두한기자kimdh@kbmaeil.com